·자유게시판
알 수 없음
⚠️ 백화묘 주의하세요! ⚠️
백화묘란, 어린 벼가 갑자기 강항 햇빛을 받아서 잎이 초록색으로 변하지 못하고 하얀색으로 남아있는 현상이에요.

<예방법>
싹이 나온 후 신문지나 비닐 멀칭, 부직포로 햇빛을 가려주고 싹이 초록색이 되면 치워주세요. 그리고 온도가 20도 이하가 되지 않도록 보온해주세요.

⭐️ 백화묘 예방법을 잘 아시는 분 백화묘 현상을 겪은 분이 계시다면 댓글로 정보를 공유해주세요! ⭐️

※ 농진청에서 발행한 주간농사정보(5월 8일 ~ 5월 14일)를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shorturl.at/BLMNX
알 수 없음님의 벼 · 자유게시판 작성글 사진
팜모닝 로봇
공식
백화묘 현상에 대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예방법으로 싹이 나온 후 햇빛을 가려주고 온도를 20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하네요. 여러분들도 이 정보를 참고해서 백화묘 현상을 예방해보세요! 🌱
충남태안딸기8900
수박?정보부탁?
경북문경토끼1964
이미진행됀것은특별한약이없구요예방이최선입니다

모임의 연관글

다음 주 주간 농사 정보가 도착했어요🙌 (10월 17일 ~ 10월 21일) [🌞 날씨] 다음 주는 찬 공기의 영향으로 쌀쌀할 때가 많겠습니다. 기온은 평년(12.8~14.4℃)과 비슷하거나 낮고, 강수량은 평년(1.6~9.7mm)보다 적겠습니다. 저수율: 66.2% (평년 67.7%의 97.8% / 10.10 기준) 밭가뭄: 정상 166개 시군(99%), 관심:1개(1%) (10.18 무강우 시) 정상: 164개 시군(98%), 관심: 2개(1%), 주의: 1개(1%) [🌾 벼] 외관상 충분히 익고 수분함량이 25% 이하일 때 수확해주세요. 출수 후 조생종 45~50일, 중생종 50~55일, 중만생종 55~60일이 수확 적기예요. 잦은 강우 시 수발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발아 발생한 논은 가능한 한 빨리 수확해주세요. 수확한 벼는 높은 온도에서 말리면 품질이 나빠지므로 일반용은 45~50℃, 종자용은 4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말려주세요. 급격한 건조는 동할미를 발생시키고, 과도한 건조는 식미 악화 및 도정 곤란을 초래해요. 건조를 지체할 경우엔 벼가 변질하므로 수확 후 건조 및 저장에 주의해주세요. [콩] 콩 꼬투리에 푸른빛이 없고,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변할 때 수확해요. 성숙 후 10일경, 수분함량 18~20% 정도가 콤바인 수확 적기예요. 콤바인 수확 시 적기보다 빠르면 건조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미숙종자가 많아져요. 적기보다 늦으면 자연 상태에서 꼬투리가 터져 손실이 증가하므로 수확 적기를 잘 판별해주세요. 탈곡한 콩은 정선기 등으로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 14% 이하로 건조하고, 서늘한 장소에 저장해주세요. [들깨] 만생종 들깨는 10월 중순이 수확기예요. 잎이 황변하고, 줄기를 흔들면 종실이 탈립 되기 시작할 때 수확하세요. 수확할 땐, 종실이 땅에 떨어지기 쉬우므로 흐린 날이나 저녁에 하는 걸 추천해요. [🧄 마늘] 한지형 마늘은 10월 상순 파종하지만, 충남 해안지역 한지형 마늘은 11월 중순까지도 심어요. 10월 상순 파종한 마늘은 뿌리 활착과 양분 흡수 증대를 위해 적정한 수분 관리가 중요한 때예요. 15일 간격으로 30mm 정도 관수하고, 초기 잡초 방제에도 신경 써주세요. [🧅 양파] 조생종 양파는 아주심기 막차를, 중생종 양파라면 아주심기를 시작해야 하는 주간이에요. 우량 묘를 육묘하려면 줄기 굵기 6~7.5㎜, 키 25~30㎝, 엽수 4매 정도, 뿌리 및 잎 절단이 없는 묘를 선택해주세요. [🍐 배] 중만생종 배를 수확할 시기예요. 신고와 만풍배는 10월 상순, 추황배는 10월 하순이 수확적기이니 놓치지 마세요. 수확시기를 앞당기면 저장력은 향상되나 맛이 떨어지고, 미숙과는 당분축적량이 적어 빨리 부패하니 적기 판별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좋아요9·댓글13
벼 농사도우미님의 벼·농사길잡이 작성글 사진
🔔 4월 4주차 벼 농작업 알림 [🌞 날씨] 다음 주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은 평년(12.4~14.0℃)과 비슷하겠습니다. 강수량도 평년(16.3~31.5㎜)과 비슷하겠습니다. - 저수율: 75.8% (평년 78.7%의 96.3%) / 4. 10. 기준) 🔎육묘 관리 요령 ❍ 비닐하우스 못자리는 바닥에 부직포를 깔고 치상하여 수분이 일찍 마르는 현상을 방지해요. - 하우스에는 20~30%의 차광망을 씌워서 고온 피해나 백화현상을 피하도록 하고 차광망을 씌우지 못한 경우에는 모판 위에 못자리용 부직포를 덮어주세요. ❍ 입고병(모잘록병)은 봄철 녹화 개시 후 5~10℃로 저온 또는 출아 온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주야간 온도 차이가 큰 경우 발생하므로 등록된 약제로 방제합니다. - 출아할 때 온도는 30~32℃ 유지하고 35℃를 넘지 않도록 관리하며 녹화기에는 25℃ 내외로 유지하는 게 좋습니다. - 못자리에 발생했을 경우 적용약제로 종자 파종 후 살포해주세요. ❍ 뜸모는 육묘 중 7~20℃와 같이 급격한 온도변화와 종자 밀파로 상자 내부가 과습하고 상토 중의 산소가 부족하여 발생합니다. - 적정량의 종자 파종과 적온을 유지하며 파종 전에 적용약제를 사용해주세요. ❍ 백화묘 발생 원인은 출아 직후 하얀 모를 갑자기 강한 햇볕과 낮은 온도에 두었을 때 엽록소가 형성되지 않아 발생합니다. - 출아 직후 상자모를 쌓을 때 모 길이가 1㎝ 이하가 되도록 하고 녹화 시기에는 빛을 가려주며 온도는 20℃ 이하가 되지 않도록 관리해주세요. ❍ 들뜬모 발생 원인은 흙덮기로 사용한 흙이 점질토인 경우, 종자를 배게 뿌린 경우, 온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흙덮기 후 물주기를 하면 발생합니다. - 발생 요인을 사전에 피하고 육묘 중 부득이 들뜬모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자에 물 대기를 하며 뿌리가 노출된 모는 흙을 더 뿌려주세요. 🔔주간 작업 알림을 놓치지 않고 받아 보고 싶다면? 벼 농사도우미 이웃 추가👆🏼 출처: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좋아요6·댓글9
벼 농사도우미님의 벼·농사길잡이 작성글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