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작물

기타작물 · 병해충상담
경기군포행복대박산본
대추나무에
1. 개미-진딧물
2. 대추나무 잎 끝 마름병
3. 대추 열매가 오그라드는 병
방제법을 알고 싶어요
집에서 세그루 기르고 있는데
병해충 때문에 수확이 힘들어요
또한 소량이다보니 비료도 안주고 거름만 농협에서 사다 줍니다
FarmmorningFarmmorningFarmmorning
공유
경기군포정현식
개미는 진딧물과 공존 하니까 진딧물약 치면 같이 없어지구요 잎마름병 권찌님 설명대로 하시면 되구요 그 외에도 봄에 깍지벌레약ㆍ총채벌래약ㆍ갈색날개매미충 등 살충제도 시기별로 쳐 줘야 합니다
경기고양권찌
잎마름병은 배수가 불량하고 질소질 비료를 과다 사용할 경우 많이 발생한다고 하네요
특히 여름철 장마기에 시작하여 가을까지 계속 발생한다고 하는데 살균제를 장마기부터 10일 간격으로 3-4회 정도 살포해주시고 배수가 잘되도록 하며 질소질 비료의 사용을 줄이며 비에 흙이 튀지 않도록 아래 뿌리쪽 부초를 해줍니다.
살균제로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칼슘알킬트리메틸암모늄 수화제 가 있으니 참고해보시면 될 듯 합니다.

기타작물모임의 연관글

비티균 & 백강균 활용한 해충 방제 정보 공유! 농사짓다 보면 해충이 골칫거리인데, 특히 토양 속 유충과 나방류 해충은 방제하기가 쉽지 않죠. 그래서 오늘은 비티균과 백강균을 활용한 친환경 방제법을 공유합니다! 비티균(BT균) – 유충 방제 특화! ✅ 해충의 장내 독소 생성 → 유충 장기 손상 ✅ 주로 나방류 애벌레 방제 (총채벌레, 진딧물, 담배거세미나방 등) ✅ 농작물 잎에 직접 살포하면 먹이활동 중 감염! > 추천 사용 작물: 마늘, 레드향, 대추, 벼 등 사용 시기: 해충 발생 초기에 사용 백강균 – 토양 속 해충까지 잡는다! ✅ 표피 침투 후 병원성 미생물 감염 → 해충 사멸 ✅ 나방류뿐만 아니라 토양 속 해충(땅강아지, 응애 등)에도 효과 ✅ 토양에 처리하면 땅 속 해충 방제 효과 상승 추천 사용 작물: 마늘(뿌리 해충 예방), 레드향(뿌리썩음 피해 예방), 대추(월동 해충 방제) 사용 시기: 2~3월 토양 살포 또는 정식 시 뿌리 주변 처리 실제 활용 팁 마늘 밭: 2월~3월 해충 예방 차원에서 토양 처리 추천 레드향, 대추, 밤: 월동 해충(나방, 총채벌레) 방제 위해 2~3월 중 살포 벼농사: 모내기 전 토양에 미리 처리해 해충 밀도 낮추기 지금 시기에는 마늘·레드향·대추 농가에서 활용하기 딱 좋은 타이밍! 혹시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좋아요12·댓글6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