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 농업마켓365 비료맨 입니다! 🌱 최근에 아미노산에 대한 문의가 많아서 오늘은 아미노산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내용이 다소 기니 ※1,3,4번※ 정도만 보셔도 무방합니다😁
1. 동물성 아미노산 vs 식물성 아미노산이 작물에 미치는 영향
1) 동물성 아미노산 주요 공급원: 어분, 동물성 유기질 1.1) 특징: 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질소 성분이 풍부하여 작물 생육을 빠르게 촉진, 토양 미생물 활성화를 도와 유기물 분해 및 양분 공급 속도 증가, 하지만 발효 과정이 필요하며, 부패 시 악취가 날 수 있음.
2) 식물성 아미노산 주요 공급원: 대두(콩), 옥수수, 해조류 추출물 등 2.1) 특징: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아 작물의 빠른 흡수 가능, 엽면시비나 관주를 통해 직접 작물에 흡수됨, 토양 내 미생물 활동과 균형을 맞추며, 지속적인 양분 공급 가능, 질소 함량이 낮아 생육 촉진 효과가 동물성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함.
그럼!! 어떤 아미노산을 언제 사용해야할까요??
※ 초기 생육 촉진 → 동물성 아미노산(질소 함량이 높음) ※ 염류 피해 및 스트레스 해소 → 식물성 아미노산(유리아미노산 흡수력 강함) ※ 토양 건강 개선 → 식물성+동물성 혼합(미생물 균형 유지)
2. 아미노산별 역할 (어떤 아미노산이 있는지만 알아둬도 도움이 됩니다)
1) 이소류신 세포 형성과 효소 활성 후 생육 속도 상승, 병해충 저항성 증가
2) 류신 생장 촉진, 광합성 활성화, 작물의 생육 균형 유지
3) 라이신 뿌리 발달 촉진, 질소 이용 효율 증가, 작물의 내구성 강화
4) 메티오닌 에틸렌 합성 촉진 후 개화 및 과실 발달, 과실 착색 및 당도 증가, 항산화 작용 후 작물 보호.
5) 페닐알라닌 과실의 색깔을 선명하게 하고, 병해충 저항성을 증가시킴. 리그닌 및 플라보노이드 합성 촉진, 작물의 조직 강화, 해충에 대한 저항성 증진
6) 트레오닌 수분 균형 유지, 작물의 조직 발달 촉진, 단백질과 세포막 형성에 기여하여 작물의 건강한 생육을 유도
7) 트립토판 생장호르몬 생성 촉진, 뿌리 성장 활성화, 인돌아세트산 전구체로 작용하여 작물의 성장 조절과 뿌리 발달 유도.
8) 발린 생육 속도 증가, 병해충 저항성 강화, 에너지 대사 조절 및 단백질 합성을 통해 작물의 생육을 최적화.
9) 히스티딘 세포 보호, 중금속 스트레스 저항성 증가, 금속이온 조절 및 생리적 완충 작용을 수행하여 작물이 환경 스트레스에 견딜 수 있도록 도움.
10) 알라닌 광합성 촉진, 에너지 대사 활성화, 세포 호흡을 증가시켜 작물의 에너지 생성 및 활용을 최적화함.
11) 아르기닌 뿌리 성장 촉진, 착과율 향상, 세포 분열과 호르몬 합성을 촉진하여 작물의 생장 속도 증가.
12) 아스파라긴 질소 저장 및 운반, 뿌리 활력 증가, 단백질 및 효소 합성을 촉진하여 작물의 질소 이용 효율을 높임.
13) 아스파르트산 질소 대사 조절, 작물의 내구성 증가, 질소 흡수를 촉진하여 작물이 필요한 영양분을 최적화하도록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