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복숭아

복숭아 · 자유게시판
충북옥천달맛햇복숭아농원
답변왕
귀촌15년차 복숭아🍑·
부주지_덧원가지 자름전정시
세력을 더 강하게 하려면~~~

윗쪽 사진 처럼 자르면 좋을까요?
아랫쪽 사진처럼 자르면 좋을까요?

설 명절이 지나고 🍑복숭아나무 겨울전정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https://m.blog.naver.com/okjaeook7/223352383771
달맛햇복숭아농원님의 복숭아 · 자유게시판 작성글 사진달맛햇복숭아농원님의 복숭아 · 자유게시판 작성글 사진달맛햇복숭아농원님의 복숭아 · 자유게시판 작성글 사진
전남여수백육칠라지
초보 농부입니다.
한 가지 문의드립니다.
전지 끝나고.
약은. 어떤약을 치나요.
작년에 탄도병이 와서 수확을 보지못했읍니다.
모슨약을 얼마기간 동안 쳐야하나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충북옥천에덴농장
하단것이 세력은 더욱 세저요
입눈은 밑으로 향해 있는걸 보고 절단하면 직선으로 키울수있어요
충남금산?!
평생농부·
세력을강하게 키우고싶으면 우측사진이
맞습니다 전정시 아래위로 눈이2개있으면좋이않아요
전정부이는 눈이 위쪽으로 하고 절단하세요 그래야 성장과정에서 가지가 쪼개지지않습니다 측지가 주지보다 높으면
세력이 역행합니다 주지는 아버지 측지는 아들 주지는 3개정도 각도는120도
4개세우면 90도로 첫해부터 잘분산해서 키우세요

복숭아모임의 연관글

📢 묵은 가지를 제거하는 전정(전지) 작업, 겨울이라고 쉬어선🙅‍♀️ 여름과 가을에 이어 겨울에도 주기적으로 전정을 해야만 고품질 복숭아를 생산할 수 있어요! ---------------------------------------------------------- <복숭아나무 전정, 5가지만 기억하세요!> 1️⃣ 나무 세력 판단 웃자람가지와 단과지의 발생 비율을 관찰하면 나무 세력을 판단할 수 있어요. 웃자람가지 발생 없고, 단과지가 90% 이상 발생 → 세력 약함 웃자람가지가 많이 발생하고, 단과지가 약 50% 정도 → 세력 강함 나무 세력이 적당한 성목은 웃자람가지 4~5개, 단과지 70~75%, 중과지 25~30%. 2️⃣ 가지의 세력, 혼잡도 고려해 솎음전정과 자름전정 실시 나무 세력이 강한 경우 → 솎음전정 위주로 세력 안정시키기 나무 세력이 약한 경우 → 자름전정을 실시해 세력 있는 가지 발생시키기 개개 곁가지 전정 시 그 선단의 열매가지가 15cm 이하인 경우 → 자름전정 실시 15cm 이상인 경우 → 자름전정을 하지 않거나 매우 가볍게 한다. 열매 가지는 원칙적으로 잘므전정을 실시하지 않지만, 가늘고 약한 경우 선단부를 약간 잘라 품질 향상과 가지 세력 유지 꾀하기. 3️⃣ 원가지, 덧원가지의 선단부는 젋게 유지 양분과 수분을 끌어올리는 힘의 원천인 원가지와 덧원가지는 항상 적당한 세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함. 만약, 열매가지보다 가늘게 된 경우엔 웃자람가지 등을 이용해 갱신. 4️⃣ 활력 있는 곁가지 이용 배면보다 측면, 측면보다 사면에서 발생된 곁가지가 활력이 좋고, 이용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 좋은 위치에서 발생된 가지를 활용함. 등면에서 발생된 가지는 대체적으로 웃자라는 성질을 갖고 있어 나무 세력 안정이나 과실 품질 면에서 적당하지 않으므로 이른 시기에 제거. 5️⃣ 단·중과지를 열매가지로 활용 장과지는 영양생장형이 많기 때문에 품질 차가 많고, 과육이 쉽게 물러지며 변형과 발생이 많음. 단·중과지는 과실 크기와 품질이 우수하고, 수량 및 나무 세력 유지 등의 측면세어도 우수. ---------------------------------------------------------- <전정 시 ‘이것’ 주의하세요> 1️⃣ 수형 구성에 지나친 집착은 금물 지나치게 수형 구성에만 집착하면 수관 확대가 느리고, 강전정이 되풀이 되므로 서서히 수형을 구성해가기. 2️⃣ 주종 관계 유지 나무의 입체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가지 종류별로 긴 삼각형 모양이 될 수 있도록 길이와 세력 조절 필요. 특히, 정부우세성이 변하기 쉬우므로, 원가지, 덧원가지, 곁가지 선단부의 가지가 적당한 세력을 유지해야 가지 간의 세력 균형이 흐트러지지 않음. 3️⃣ 강전정은 가능한 한 자제 강전정 실시 시 웃자람가지 발생이 많아지는 악순환이 되풀이됨. 그렇게 되면 나무의 세력이 약해지고, 수명이 단축되며 결실 및 품질이 떨어짐. 4️⃣ 선단부 잎눈 확보 단·중과지의 끝을 자르면 가지 선단부의 잎눈이 제거돼 과실 발육에 필요한 충분한 영양분 공급에 지장이 생겨 과실 생장에 불리하므로 주의. 출처: 농촌진흥청 농업기술길잡이
좋아요12·댓글2
복숭아 농사도우미님의 복숭아·농사길잡이 작성글 사진
🍑복숭아나무 전정 요령 내년 농사를 잘 짓기 위해 복숭아나무에 양분을 골고루 주려면 올바른 전정법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오늘은 농촌진흥청 전문가들이 알려주는 복숭아나무 전정 요령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전정 요령 핵심 요약 1️⃣ 나무 세력을 판단한다. 2️⃣ 가지의 세력, 혼잡도를 고려하여 솎음전정과 자름전정을 실시한다. 3️⃣ 원가지, 덧원가지의 선단부는 젊게 유지한다. 4️⃣ 활력 있는 곁가지를 이용한다. 5️⃣ 단・중과지를 열매 가지로 활용한다. 🍑전정 요령 상세 정보 1️⃣ 나무 세력을 판단한다. 웃자람가지와 단과지의 발생 비율 관찰로 나무 세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만약 웃자람가지가 발생하지 않고 단과지가 90% 이상 발생해 있으면 세력이 약한 것이고, 단과지가 약 50% 정도면서 웃자람가지가 많이 발생해 있으면 강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나무 세력이 적당한 성목은 웃자람가지가 4~5개, 단과지가 70~75%, 중과지가 25~30% 발생해요. 2️⃣ 가지의 세력, 혼잡도를 고려하여 솎음전정과 자름전정을 실시한다. 나무 세력이 강한 경우에는 솎음전정 위주의 전정으로 세력을 안정시키고 약한 경우에는 자름전정을 실시하여 세력이 있는 가지를 발생시켜주세요. 개개의 곁가지 전정 시에는 선단의 열매 가지가 15cm 이하인 경우 양수분을 빨아 당기는 힘이 약하므로 자름전정을 실시하고 15cm 이상인 경우에는 선단부에 2개 이상의 자람가지가 형성되므로 자름전정을 실시하지 않거나 매우 가볍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열매 가지는 원칙적으로 자름전정을 실시하지 않지만 가늘고 약한 경우에는 선단부를 약간 잘라 품질 향상과 가지 세력 유지를 꾀해야 해요. 3️⃣ 원가지, 덧원가지의 선단부는 젊게 유지한다. 원가지나 덧원가지의 선단부는 양분과 수분을 끌어올리는 힘의 원천이므로 항상 적당한 세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만약 원가지나 덧원가지의 연장지가 열매 가지보다 가늘게 된 경우에는 웃자람가지 등을 이용하여 갱신해 주세요. 4️⃣ 활력 있는 곁가지를 이용한다. 배면보다는 측면, 측면보다는 사면에서 발생한 곁가지가 활력이 좋고 이용할 수 있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좋은 위치에서 발생된 가지를 활용해주세요. 또한 등면에서 발생한 가지는 대체로 웃자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무 세력 안정이나 과실 품질 면에서 적당하지 않으므로 이른 시기에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단・중과지를 열매 가지로 활용한다. 열매 가지 종류별 과실 크기는 꽃덩이가지(화속상단과지)와 단과지(10cm 이내의 짧은 열매 가지)에서 큰 과실이 생산되고 품질 차가 적어 좋은 열매 가지입니다. 그러나 가지가 짧기 때문에 가지 쏠림이 많아 상처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이보다는 발생 위치가 좋은 단과지를 이용하는 것이 낫습니다. 장과지(30cm 이상의 긴 열매가지)는 영양생장형이 많기 때문에 품질 차가 많고 과육이 쉽게 물러지며 변형과 발생이 많습니다. 이에 비해 단・중과지는 과실 크기와 품질이 우수하고 수량 및 나무 세력 유지 등의 측면에서도 우수하므로 단・중과지를 열매 가지로 활용해주세요.
좋아요10·댓글8
복숭아 농사도우미님의 복숭아·농사길잡이 작성글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