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마늘

마늘 · 품종•종자
전북완주원기서
여기는 전북완주입니다
의성 마늘 한달전에 사서
서늘곳에 보관하다
일주전에 비닐멀칭후
한쪽씩 심었습니다
아직싹이 안나서요
저온창고 들어가서
그런가요?
경북영천블루베리18904
빈심 빈몸·
마늘 종자는 냉동보관 하시면
안됩니다
볓이들지 않은곳에 보관
하심 되구요
싹도 의성 한지형 마늘 이른
봄 되야 싹이나요
냉동보관 하면내년 수확기를
확신 하기 힘들어요
참고 참고요
충북보은조문식
한지형 마늘은 조금
눗게 올라와요
마늘을 뽑아 보세요
뿌라가 내리면 정상
입니다

마늘모임의 연관글

월동 후 마늘과 양파는 봄철 생육이 시작되면서 적극적인 관리와 병해충 방제가 필요합니다. 아래에서는 월동 후 관리 요령과 주요 병해충 방제 방법, 웃거름 관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월동 후 마늘밭, 양파밭 관리 요령 잡초 제거: 겨울 동안 발생한 잡초를 제거하여 작물의 생육을 방해하지 않도록 합니다. 배수 관리: 봄철 강우로 인한 과습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로를 점검하고 정비합니다. 토양 통기: 토양을 얕게 긁어 작물 뿌리에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합니다. 멀칭 점검: 비닐 멀칭이 훼손된 곳을 보수하여 잡초 발생을 억제하고 토양 수분을 유지합니다. 2. 주요 병해충 방제 방법 1) 녹병 발생 원인: 낮은 온도와 높은 습도가 지속될 때 발생하며, 과밀 식재와 배수 불량 시 발생 확률이 높아집니다. 방제 방법: 예방: 통풍이 잘되도록 심는 간격을 조정하고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합니다. 방제: 디페노코나졸 또는 프로피코나졸 성분의 살균제를 10~14일 간격으로 살포합니다. ​ 2) 노균병 발생 원인: 저온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하며, 감염된 종구나 잔재물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방제 방법: 예방: 병원균에 감염되지 않은 종구를 사용하고 작물 재배 후 잔재물을 제거합니다. 방제: 메탈락실-M 또는 아족시스트로빈 성분의 살균제를 7~10일 간격으로 살포합니다. ​ 3) 흑색썩음균핵병 발생 원인: 과습한 환경과 상처를 통해 균이 침투하여 발생합니다. 방제 방법: 예방: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하고 병든 식물을 신속히 제거합니다. 방제: 플루디옥소닐 또는 치아벤다졸 성분의 살균제를 사용합니다. ​ 4) 고자리파리 발생 원인: 유충이 마늘과 양파 구근을 갉아먹어 발생하며, 봄철 온도가 올라가면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방제 방법: 예방: 파종 전에 토양 소독을 실시하고, 피해가 심한 밭에서는 윤작을 시행합니다. 방제: 클로르페나피르 또는 스피노사드 성분의 살충제를 살포합니다. 5) 뿌리응애 발생 원인: 건조하고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며, 뿌리를 갉아 작물의 성장을 저해합니다. 방제 방법: 예방: 토양에 유기물을 충분히 공급하여 토양 건강을 유지합니다. 방제: 아바멕틴 또는 페니트로티온 성분의 살충제를 살포합니다. ​ 6) 구근선충 발생 원인: 감염된 종구 또는 토양을 통해 전염되며, 뿌리와 구근에 손상을 입힙니다. 방제 방법: 예방: 검증된 종구를 사용하고, 피해가 심한 밭에서는 작물을 윤작합니다. 방제: 옥사밀 또는 펜토피라드 성분의 약제를 사용합니다. 4. 추가 관리 팁 병 발생 모니터링: 주기적으로 밭을 점검하여 초기 증상을 발견하면 바로 방제 조치를 취합니다. 잔재물 처리: 수확 후 병해충의 서식지를 제거하기 위해 잔재물을 철저히 정리합니다. 윤작 시행: 병해충 발생을 줄이기 위해 2~3년 주기로 다른 작물과 윤작합니다.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월동 후 마늘과 양파 재배를 철저히 관리하면 높은 수확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병해충 예방과 적절한 비료 관리로 건강한 작물을 키워보세요
좋아요25·댓글29
대산농사대장님의 마늘·비료•농약 작성글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