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주제

자유주제 · 자유게시판
경북안동김영제
세한연후 지송백지후조야·
세한연후 지송백지후조야
수지청즉무어 하고
인지찰즉 무도인이라

사람은가볍게 살지말고
소나무처럼 진득하고
물이너무맑으면
물고기가 못살고
사람이 사람을
너무살피면
내주변엔 사람이없구료
세상살면서 실수없는
사람있으리까
떠다니는 구름처럼
둥실둥실살아도
되지않을까요
공유하기
댓글을 남기려면 앱을 설치해주세요

자유주제모임의 연관글

-‘너무’ 가 문제입니다- “붓다의 치명적 농담"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스님도 도를 닦고 있습니까?” “닦고 있지.” “어떻게 하시는데요?” “배고프면 먹고, 피곤하면 잔다.” “에이, 그거야 아무나 하는 것 아닙니까? 도 닦는 게 그런 거라면 아무나 도를 닦고 있다고 하겠군요.” “그렇지 않아. 그들은 밥 먹을 때 밥은 안 먹고 이런 저런 잡생각을 하고 있고, 잠 잘 때 잠은 안자고 이런 저런 걱정에 시달리고 있지.” 이전에 이 글을 읽고는 속된 말로 개풀 뜯어 먹는 소리라고 여겼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이게 보통 내공이 아니면 힘든 것이겠다 싶습니다. 머리를 단순화 시키는 작업, 그것은 우연이나 성격이 아니라 부단한 노력과 수련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이 듭니다. 내가 은퇴를 하고 제일 많이 듣는 말이 있습니다. "요즘은 뭐 하시며 지내세요"? 나는 그때마다 이렇게 대답합니다. "그냥 놀아요" 그러면 모두들 의아하게 생각합니다. 현직에 있을때는 새벽에 일어나고 밤 10시에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이 생활 습관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은퇴후에도 변한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현직에 있을때는 모든 것이 일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모든 것이 놀이 입니다. 그 사람들은 일도 놀이처럼 하는 내 생활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나는 놀이가 일이고 일이 놀이라고 생각하며 생활합니다. 그러니 "그냥 놀아요"가 내 대답입니다. 오래전에 "버틀런트 러셀의 "게으름에 대한 찬양"이란 책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그 때는 별로 마음에 와 닿지 않았는데 나이가 쬐끔 들고 보니 "찬양"의 의미를 알 것 같습니다. 우리 모두는 너무 바쁘게 삽니다. "나 요즘 너무 바빠 바빠서 정신이 없어" 이렇게 타인에게 말하면 뭔가 좀 있어보이기도 합니다. 바쁜 것을 미덕으로 여기는 사회에서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사회의 일원으로서 오랫동안 살다보니 우리 스스로도 뭔가 할 일이 없으면 불안해지거나, 불러주는 이가 없으면 소외감을 느끼거나, 늘상 무엇인가를 해야하고, 늘상 무엇인가에 쫓기듯 살아야 오히려 마음이 편하게 느껴지는 것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러셀"이 말하는 게으름이란 개미와 베짱이에서의 베짱이처럼 놀고 먹는 게으름이 아닙니다. 그가 말하는 게으름이란 존재의 존엄성을 놓치지 않기 위한 여유로움과 여백입니다. 진정 행복해지려면 게으름을 즐기는 시간이 필요하고 그 시간을 통해서 진정한 "나 자신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말하는 책입니다. 우리는 자기 자신의 존재와 자유를 스스로 확보할만한 여유가 없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행복한 창조의 시간은 게으름으로부터 나온다 행복해지려면 게을러지라"는 "러셀"의 처방이 저는 왠지 마음에 듭니다. 아일랜드 옛 시집에는 "어느 아일랜드 王의 충고"라는 이런 글이 있습니다. 너무 나서지도 말고, 너무 물러서지도 말라. 너무 나서면 가벼운 사람으로 여길 것이고, 너무 물러서면 무시할 것이다. 너무 거만하지도 말고, 너무 겸손하지도 말라. 너무 거만하면 까다로운 사람으로 여길 것이고, 너무 겸손하면 존중하지 않을 것이다. 너무 떠들지도 말고, 너무 침묵하지도 말라. 너무 말이 많으면 말에 무게가 없고, 너무 침묵하면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을 것이다. 너무 강하지도 말고, 너무 약하지도 말라. 너무 강하면 부러질 것이고, 너무 약하면 부서질 것이다. 결국 "너무"가 문제입니다. 너무 바쁘게 살지 말고 조금은 여백이 있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그래야 보지 못했던 것이 보입니다. 그래야 보이지 않았던 것이 보입니다. 그래야 행복이 보입니다. <옮겨온 글 입니다>
좋아요16·댓글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