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참 지원금 당첨 되서 기븐 업됐어요
22년 9월 13일
4
당첨됐습니다~~
9차 지원금요
새참 지원금요~~하하하
22년 9월 12일
3
6
새참으로 두릅전!
정말 맛있당~^^
몇개따서 첨으로
부친 두릅전!
역시 봄의제왕!
먹다가 찰칵!
23년 4월 14일
9
4
Farmmorning
💚이벤트💚 우리 농작물로 만든 밥상 사진 인증 이벤트!
팜모닝 농부님들이 키운
내 밭에서 자란,
팜모닝에서 구매한
싱싱하고 건강한 우리 농작물들!
어떻게 하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을까요?
아침, 점심, 저녁, 새참으로
이렇게 하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농부님들의 비법과
맛있는 밥상 사진을 자랑해주세요!🥬🍚🥘
추첨을 통해 농부님들 피로회복에 좋은
정관장 활기단 교환권을 보내드려요!💪
✔️이벤트 안내
1. 이벤트 기간: 2023. 4. 28(금)-5. 5(금)
2. 당첨자 발표: 5. 9(화)
3. 참여 방법
장터 이야기 모임 “자유게시판”에
나만의 밥상 비법과 사진을 올려주시면 참여 완료👏
남의 밥상도 구경하고
댓글을 달면 당첨 가능성이 높아져요!
⭐️ 혜택 하나 더!
팜모닝 장터에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일 경우 무료 홍보를 통해 소문내드릴게요!
🍚밥상 비법 이벤트 참여하기🥕
🔽초록색 글씨 누르기🔽
https://farm.fmorning.com/장터이야기_모임
23년 4월 27일
60
66
Farmmorning
새참지원금이 나왔네요
팜모닝 담장자여려본께. 감사드롭니다
벼. 수확할때. 새참자금으로. 사용하려합니다.
감사드립니다
22년 9월 28일
3
새참지원금 5만냥 당첨이래요~
참먹기에는 적당합니다 ㅎㅎ
감사합니다~이웃과함께 ~~
22년 9월 13일
5
새참 지원금 잘받았습니다.
요긴하게잘 쓰겠습니다 김사합니다
22년 9월 21일
3
추석선물을 팜모닝이
줬네요.
새참지원금 ㅎㅎ
이웃농부와 삼계탕
나누렵니다.
22년 9월 11일
5
1
새참지원금 잘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새참 먹고 열심히 일할게요.
22년 9월 21일
2
9차 새참지원금 당첨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2년 9월 14일
5
쑥떡쑥떡 포도밭에서
새참거리로 소화도 잘되고 좋은
간식거리로
쑥가루펀칭~~~
분활해서
냉동고롱gogo
논으로도 보내고
밭으로도 보낼거에요.
마응이 부자되엇네요
23년 4월 27일
6
1
Farmmorning
고흥만 모내기
새참 먹을동안 한컷 ~
한단지가 5000평 이니까 30000평 모내기 하려면 기계두대로 며칠은 해야합니다.
하지만 모내기를 하면서 풍년을 이미 예측하며 즐거운 마음으로 오늘도 열심히 합니다~~~
23년 5월 19일
9
Farmmorning
*달랑 무우 심을 곳요. 농사지은 파김치요.
노각도 농사지은거요. 기분이 좋아요. 아직
경영체 등록은 못했지만. 남편(윤영안)이 9차
새참 지원금이 붙길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22년 9월 4일
3
21
Farmmorning
새참꺼리 짐푸는중
(사과수확일 임박!!!)
23년 10월 25일
4
Farmmorning
- 6-70년대 우리들의 공감시대 5 -
우리는 모내기 할 때도 나락타작을 할 때도 학교에 가지 않고 부모님 일손을 도와 드렸습니다.
모내기 할 때는 못줄을 잡고 어른들이 지게 바자기로 모침을 날라서 논에다 뿌려 놓았는데 모심는 사람들이 모를 심기 좋게 모침을 뒤에서 적당하게 분배를 했다.
모판에서 모를 쩌내면 새참을 먹는 시간이었다.
새참은 국수를 삶아 양념장에 비벼서 먹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새참먹는 시간에는 들녘에 많은 사람들이 모였다.
아가를 키우는 아낰네들은 애기들 형제나 할머니께서 아가들 젖을 물릴려고 등에 업고 나오기 때문에 새참도 넉넉하게 준비를 해야했다.
또 지나가는 사람과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불러서 새참을 나누곤했다.
그래서 점심 또한 저녁도 넉넉하게 준비해야했다.
저녁은 어르신들이 계신 집은 밥을 따로 싸서 드리기도 했다.
옛날 시골 인심이라 생각한다.
우리집 첫모를 심는 날은 찰밥을 해서 조금 멀리 떨어진 산에 있는 논에 식구들이 다 모여서 새참과 점심을 해결했다.
매년 6월 6일 현충일은 우리집 갑골이라는 산비탈에 있는 자그마한 3개의 다랑논이 있는데 한마지기 반이었다.
맨위에 있는 논 윗쪽에서 아무리 가물어도 물이 솟아나 1년 내 물을 가두어서 첫모를 식구들이 다 모여서 심었다.
워낙 굴곡이 있는 논이라 못줄을 잡지않고 흩어지게 모를 심었다.
천수답이지만 가뭄이 있어도 논바닥이 마르지 않아서 대대로 물려받은 소중한 논이었다.
모를 심는 날자는 마을에서도 서로 겹치지않게 잡았다.
한번 심을 때마다 20명 이상씩 모여서 모를 심어야해서 한 마을에서 두세집 이상은 모를 심지 않았다.
저희 동네는 가구수가 많은 제법 큰 마을이었다.
한 마을이지만 아랫 마을,
웃 마을,
잰몰이라고 불리면서 자연스럽게 구역이 나뉘어졌다.
우리집은 주로 아랫마을과 웃마을 아낙네들을 품삯을 주고 모내기를 했다.
모심는 날이면 새참도 날라야했고 모를 다심고나면 논두렁에 못줄 막대기로 구멍을 뚫고 메주콩을 심었다.
보리타작을 할 때도 조퇴내지는 결석을 하면서 부모님의 일 또는 농사일 등을 도와드려야했고 일이 끝나면 해가 넘어가 어두울 때까지 동네어귀에 모여서 형 누나들과 얼음땡, 딱지치기, 구슬치기, 팽이치기, 땅 따먹기, 자치기, 숨박꼭질, 간생을 하며 놀았습니다.
보리타작은 보리를 한 곳에 모아놓고 조그만 발동기를 짊어지고 다니면서 보리타작을 했다.
농로가 없고 논두렁이라 발동기를 장정이 지게로 옮겨가면서 보리타작을 했다.
보리타작은 금새 마쳤다.
보리타작을 할 때는 어찌나 꺼끄러운지?
보리 수염 때문에 온몸이 쓰라렸다.
보리를 베내고 논에 벼를 바로 심기 때문에 신작로 양옆이나 논두렁에 보릿대를 세워서 말렸다.
보리타작을 하기위해 보리를 한 곳에 모을 때 바짝마른 보리이삭이 떨어진다.
새벽녘에 비료포대를 들고 다니면서 이슬이 잔뜩 뭍은 보리이삭을 주으러 나갔다.
한참을 돌아다니면서 주워모아야 정작 껕보리는 한줌밖에 되지 않았다.
요즘 말하는 가성비가 없는 일이었다.
보리를 베난 논은 쟁기로 논을 갈고 물을 대서 발로 보리밭 사이에 깔아 놓았던 건초나 지푸라기 보릿대 등을 밟아 넣었다.
물신이 나오기전까지는 발이 나무가시에 찔려서 상처를 남기기도 했다.
그런 다음 써레를 이용해 논바닥을 고르면서 거친 퇴비를 써레가 걸러냈다.
땅이 가라앉을려면 2-3일 정도 시간이 필요해서 며칠 후에 모내기를 했다.
논에 잡초는 초벌, 두벌, 세벌 지심을 맸다.
동네에서 품앗시로 돌아가면서 논고랑 사이를 기어다니면서 잡초를 뽑았다.
그 때 나락 품종은 키가 큰 품종을 심어야했다.
그 대표 품종이 팔광이라는 벼 품종이다.
그래야 그 키가 큰 지푸라기로 생활용품과 농기구를 만들었다.
나락이 키가 커서 비바람에 많이 쓰러지곤 했다.
태풍이라도 지나가면 논바닥에 벼가 다 쓸어졌다.
나락은 낫으로 베서 8주먹을 지그재그로 놓아 한단으로 묶어 논바닥에 세워서 2주정도 말렸다.
이 때 나락 20단을 한 가리라고 했다.
논 바닥에 세우고 몇가리인가?를 확인하고 작년보다 가리수가 많으면 풍년 적으면 흉년이라고 했다.
모내기 할 때 심었던 콩은 걷어서 집마당으로 날랐습니다.
노란 메주콩이었습니다.
밭이 없어서 이렇게 메주콩을 심었습니다.
다 말린 나락은 지게로 마당으로 날라서 노적봉같이 높게 쌓고 종일 공상을 밟으면서 타작을 했다.
장정 한 사람이 바짝 마른 나락 한가리를 지게에 짊어질 수 있었다.
짚을 요긴하게 써야해서 나락단을 집으로 들여와야했다.
나락타작을 할 때는 공상 양쪽에서 나락을 한주먹씩 떼 주는 사람이 2명,
공상을 발로 밟으며 나락을 요리조리 돌리면서 나락을 훑어내리는 장정이 2명,
다 훑고 난 공상 뒤에서 지푸라기를 묶는 사람이 1명,
공상앞에서 갈퀴질로 검부적과 쌓이는 나락을 긁어내는 사람이 1명
이렇게 많은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학교에 가지않고 일손을 도와야했다.
지금이야 벼를 거둘 때 트랙터가 다 해내지만 예전엔 사람이 일일이 낫으로 베어 홀태라는 기구로 훑어서 벼 알갱이를 털었습니다.
홀태는 길고 두툼한 나무 앞뒤 쪽에 다리 네 개를 달아 팔자(八字)모양으로 떠받치게 하고 빗살처럼 날이 촘촘한 쇠로 된 틀을 몸에 낀 형태로 되어 있지요.
이 빗살처럼 촘촘한 쇠틀 사이로 벼를 끼우고 잡아당겨 벼 낱알을 텁니다.
나는 짚단을 바깥 공터에 나르는 일과 나락가리에서 쌓아 놓은 나락단을 공상가까이에 갔다놓는 일을 했다.
저희는 주로 주말에 큰 일을 잡아서 일을 했다.
저는 군복무를 하는 동안도 보리베고 모심는 농번기 6월과 벼베고 보리 심는 농번기 10월에 한달씩 휴가를 맞춰서 일손을 도와드렸다.
군생활을 광주에서 끗발이 좀 있는 보직을 받아서 정기휴가와 포상휴가 및 기타 휴가를 모아서 농번기 때 1년에 두달 가까이씩 집안일을 도와드렸습니다.
다른 군인들은 휴가를 다녀오면 피부가 뽀앟고 이뻐지는데 저는 쌔까맣게 타서 부대에 복귀를 했습니다.
3년 복무기간에 훈련병과 쫄병시절 첫 해만 가을걷이 농사일을 도와드리지 못했습니다.
제가 군대생활 할 때는 복무기간이 36개월이었습니다.
옛날 나락은 만생종이었습니다.
2모작을 했기 때문이 아니가?싶네요.
논바닥에 하얀 서리를 있을 때 벼베기를 했고 일손이 모자란 가정에서는 나락가리를 쌓아 놓았다가 눈을 맞고 타작을 하기도 했습니다.
늦 가을이라 해가 짧아서 나락타작을 하고나면 밤이 다가왔습니다.
마당에 횃불을 밝히고 하루종일 공상으로 훑은 나락을 풍구를 돌려 꺼스랭이와 쭉쟁이를 걸러내고 깨끗한 나락을 광에다 차곡차곡 쌓았습니다.
광은 문짝이 1번부터 8번까지 8개였으니까 제법 큰 광이었습니다.
맨 아래 1번부터 문짝을 닫기 시작해서 광안쪽부터 나락을 차곡차곡 다 채우면 마지막 8번째 문짝을 닫으면 광에는 나락이 꽉 찹니다.
타작한 나락이 광을 다 채우면 마당에 멍석을 둥그렇게 세우고 몰아서 임시로 나락뒤주를 만들어 그 곳에도 보관했습니다.
이렇게 광에 있는 나락은 그 때마다 방아를 찧어서 쌀뒤주에 쌀을 넣어 보관했다가 꺼내서 밥을 지었다.
쌀뒤주는 두꺼운 송판으로 위에서 뚜껑을 열고 쌀을 꺼낼 수 있게 만들었고 보통 쌀 2가마니 정도는 들어가는 크기였다.
가끔씩 시내 인터리어 소품으로 볼 수가 있는 장식품으로 쓰이고있다.
우리집 쌀뒤주는 느티나무 원목으로 만들어서 무게 또한 대단했다.
나락타작도 3번은 했던 것 같습니다.
바깥에 지푸라기를 묶어서 쌓아 놓았는데 짚널이 웬만한 큰 집채만 했습니다.
지푸라기는 가마니도 짜고, 멱다리도 만들고, 멍석도 만들고, 산태미도 만들고, 꼴 망태도 만들고, 새끼도 꼬았습니다.
소 마굿간이나 돼지 우리에 넣어 소와 돼지를 따뜻하게 보온도 해주고 소 돼지 배설물을 섞어서 밟혀 퇴비도 만들었습니다.
또 소 여물로 사용했습니다.
지붕을 볏짚으로 이으기도 했습니다.
용머리를 틀어서 지붕 맨 꼭대기에 얹고 흙돌담위에도 용머리를 틀어서 올렸습니다.
이렇게 농촌에서는 볏짚이 요긴하게 쓰였습니다.
평야지대에서는 볏짚을 땔감으로 사용했지만 저희는 산에 나무가 많아서 땔깜으로 사용하진 않았습니다.
지푸라기를 땔깜으로 사용하는 평야지방보다 솔가지나무로 사용한 산간지방은 훨씬 깨끗하고 화력 또한 쎄고 굵은 나무토막으로 군불을 때고 숯도 만들어서 장담글 때랑 사용합니다.
또 화로에 숯불을 담아서 방안의 따뜻한 온도를 유지하기도 합니다.
싱그러운 5월이 시작되었습니다.
지난 4월보다 좀 더 나은 5월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5월 1일
21
24
Farmmorning
드디어 나한테도 지원금이 당첨되는 행운이 왔습니다. 새참지원금이 당첨됐다고 문자가 왔네요
농사짓는다고 힘든데 그래도 기분이 좋으네요 하루가 즐겁습니다
22년 9월 10일
4
오늘은 비가와서 하우스에서 마늘작업을하고 새참으로 감자도쪄서먹고 단호박심어놓은밭에가보았더니 단호박이 주렁주렁
잘자라고있는걸보니 마음이뿌듯하네요
23년 6월 26일
3
15
Farmmorning
내가 귀향해서 살고있는
곡성군 죽곡면 삼태리 마을
정재영 이장님 주도하에
묵혀있던 500여 평
논에 마을민 들 공동으로
모내기 했었고 제초제 를
사용했으나 묶혀 있었던 논
일부 잡초(피)가 많이 나 있어
07시 이른 시간 마을 민들
한 마음 한뜻이 되어
피 뽑는 작업 했었고
일 부 엄니 들 께서 마련한
풋호박.부추.곁들인 부침개
맛있게 먹고 막걸리 마시며
옛시절 모내기 할 때
새참 먹던일 회상해봤네요.
23년 7월 1일
14
14
Farmmorning
또 100명의 새참 지원금 탈락 입니다.
힌남로 피해 없늘 것으로 대신 합니다.
오늘도 화이팅 입니다.~~^^.
22년 9월 11일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