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만 농민이 선택한 1등 농사앱
비티균 & 백강균 활용한 해충 방제 정보 공유!
농사짓다 보면 해충이 골칫거리인데, 특히 토양 속 유충과 나방류 해충은 방제하기가 쉽지 않죠.
그래서 오늘은 비티균과 백강균을 활용한 친환경 방제법을 공유합니다!
비티균(BT균) – 유충 방제 특화!
✅ 해충의 장내 독소 생성 → 유충 장기 손상
✅ 주로 나방류 애벌레 방제 (총채벌레, 진딧물, 담배거세미나방 등)
✅ 농작물 잎에 직접 살포하면 먹이활동 중 감염!
> 추천 사용 작물: 마늘, 레드향, 대추, 벼 등
사용 시기: 해충 발생 초기에 사용
백강균 – 토양 속 해충까지 잡는다!
✅ 표피 침투 후 병원성 미생물 감염 → 해충 사멸
✅ 나방류뿐만 아니라 토양 속 해충(땅강아지, 응애 등)에도 효과
✅ 토양에 처리하면 땅 속 해충 방제 효과 상승
추천 사용 작물: 마늘(뿌리 해충 예방), 레드향(뿌리썩음 피해 예방), 대추(월동 해충 방제)
사용 시기: 2~3월 토양 살포 또는 정식 시 뿌리 주변 처리
실제 활용 팁
마늘 밭: 2월~3월 해충 예방 차원에서 토양 처리 추천
레드향, 대추, 밤: 월동 해충(나방, 총채벌레) 방제 위해 2~3월 중 살포
벼농사: 모내기 전 토양에 미리 처리해 해충 밀도 낮추기
지금 시기에는 마늘·레드향·대추 농가에서 활용하기 딱 좋은 타이밍!
혹시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2월 11일
12
6
Farmmorning
비티균 & 백강균 활용한 해충 방제 정보 공유!
농사짓다 보면 해충이 골칫거리인데, 특히 토양 속 유충과 나방류 해충은 방제하기가 쉽지 않죠.
그래서 오늘은 비티균과 백강균을 활용한 친환경 방제법을 공유합니다!
비티균(BT균) – 유충 방제 특화!
✅ 해충의 장내 독소 생성 → 유충 장기 손상
✅ 주로 나방류 애벌레 방제 (총채벌레, 진딧물, 담배거세미나방 등)
✅ 농작물 잎에 직접 살포하면 먹이활동 중 감염!
> 추천 사용 작물: 마늘, 레드향, 대추, 벼 등
사용 시기: 해충 발생 초기에 사용
백강균 – 토양 속 해충까지 잡는다!
✅ 표피 침투 후 병원성 미생물 감염 → 해충 사멸
✅ 나방류뿐만 아니라 토양 속 해충(땅강아지, 응애 등)에도 효과
✅ 토양에 처리하면 땅 속 해충 방제 효과 상승
추천 사용 작물: 마늘(뿌리 해충 예방), 레드향(뿌리썩음 피해 예방), 대추(월동 해충 방제)
사용 시기: 2~3월 토양 살포 또는 정식 시 뿌리 주변 처리
실제 활용 팁
마늘 밭: 2월~3월 해충 예방 차원에서 토양 처리 추천
레드향, 대추, 밤: 월동 해충(나방, 총채벌레) 방제 위해 2~3월 중 살포
벼농사: 모내기 전 토양에 미리 처리해 해충 밀도 낮추기
지금 시기에는 마늘·레드향·대추 농가에서 활용하기 딱 좋은 타이밍!
혹시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2월 11일
11
5
1
Farmmorning
밭에 과실수를 많이 심었는데, 꽃은 많이 펴도 열매가 달리면서 해충 피해가 많습니다.
어떤걸로 해충 피해를 막으면 좋을까요?
6월 3일
15
18
해충들 박멸하는
방법 있으면 얼마나좋을까요~
때문에 힘들어요
11월 16일
4
2
오래 사용하다보니 박사주준까지 왔네요..ㅎㅎ
2월 21일
3
1
1
[✍️커피찌꺼기를 활용한 달팽이 유인 트랩 ]
매일매일 농사공부 5탄 94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9월 16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커피찌꺼기를 활용한 달팽이 유인 트랩>입니다.
달팽이는 습한 환경을 좋아하는 해충으로, 농작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커피박을 이용한 유인 트랩은 저비용으로 달팽이를 제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준비물
- 커피박 (사용한 커피 찌꺼기)
- 작은 그릇 또는 용기
- 투명 비닐 또는 랩
- 송곳이나 작은 구멍을 낼 도구
🔻만드는 법
1. 커피박 준비
- 사용한 커피 찌꺼기를 모아 말림
- 말린 커피박을 그릇에 담음
2. 그릇 준비
- 커피박을 담은 그릇에 물을 살짝 뿌려 촉촉하게 만듦
- 투명 비닐이나 랩으로 그릇을 덮고, 송곳으로 여러 개의 작은 구멍을 뚫음
3. 설치
- 트랩을 달팽이가 자주 나타나는 장소에 설치
- 그늘지고 습한 곳에 두는 것이 효과적

🔻활용 방법
- 매일 트랩을 확인하고 달팽이를 제거
- 커피박이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뿌림
- 사용 후 남은 커피박은 퇴비로 활용하거나 다시 트랩에 사용 가능
🔻주의사항
- 커피박은 시간이 지나면 냄새가 약해지므로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
- 트랩만으로 모든 달팽이를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방제 방법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음
이 커피박을 활용한 달팽이 유인 트랩은 농가에서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친환경 해충 방제법입니다. 커피박을 재활용함으로써 폐기물도 줄이고, 비용 부담 없이 농작물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매일농사공부 1탄 16편 [커피찌꺼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OTMxMTk=
🎓 공부자료를 확인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9월 16일
43
507
6
Farmmorning
[ 병해충발생정보 제 10호 2024. 8. 1. ~ 8. 15 ]
< 식량작물 >
⚠️ 주의보
⚠️ 주의보
⚠️ 주의보
⚠️ 주의보
⚠️ 주의보
- 병 :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세균벼알마름병
- 해충 : 혹명나방, 벼멸구, 흰등멸구, 열대거세미나방, 먹노린재
< 채소 >
⚠️ 주의보
- 병 : 역병‧탄저병‧바이러스, 고랭지 무·배추 무름병, 뿌리혹병
- 해충 : 담배나방, 파밤나방
< 과수 >
‼️경보
탄저병
⚠️ 주의보
- 해충: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 병: 과수가지검은마름병, 탄저병, 사과갈색무늬병, 노균병(포도)
🗓 예보
- 병 : 과수화상병, 과수가지검은마름병, 사과갈색무늬병, 점무늬낙엽병
- 해충 :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병해충발생정보 전문 보러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54010&fileSeCode=185001&fileSn=1
8월 8일
40
52
Farmmorning
🐛병해충 상담이 더욱 쉬워졌어요!🤗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농사하는 사람이라면 모두 있는 병해충 고민,
그동안 어디서, 어떻게 물어봐야 할지 답답하셨나요?
병해충 상담, 더 쉽고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병해충 상담'기능을 개선했어요.
지금 구글 플레이 스토어(아이폰: 앱스토어)에서 앱을 업데이트하고
달라진 ‘병해충 상담'을 만나보세요.
업데이트 바로가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reenlabs.smartfarm
🧐새로 나온 ’병해충 상담글 작성’, 무엇이 달라졌나요?
1. 홈 화면 글쓰기를 눌러 바로 ‘병해충 상담’을 눌러 글을 작성할 수 있어요
2. 병해충 발병부위, 증상을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도 할 수 있어요
3. 병해충 상담글이 등록되면 게시물에 발병부위와 증상이 더욱 잘 보여요
-> 다른 팜이웃과 팜모닝 로봇이 더 정확한 답변을 해줄 수 있어요.
🍯병해충 상담글 작성 꿀팁!
- 증상이 담긴 사진을 첨부하면 더욱 많은 답변을 받을 수 있어요.
팜모닝 앱을 업데이트하고
더 쉽고 편하게 병해충 상담을 받아보세요!
23년 9월 19일
25
27
Farmmorning
팥죽이 제일 입니다
찹쌀과 팥 사두었지요
모두들 맛나게 해 드시고 내년액운 막읍시다
12월 18일
14
2
1
[ 병해충발생정보 제 11호 2024. 8. 16. ~ 8. 31 ]
< 식량작물 >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병 :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세균벼알마름병
- 해충 : 혹명나방, 흰등멸구, 열대거세미나방
🗓 예보
- 해충 : 먹노린재, 벼멸구
< 채소 >
⚠️ 주의보
- 병 : 고랭지 무·배추 무름병, 뿌리혹병, 바이러스·역병·탄저병
- 해충 : 고추 담배나방 , 파밤나방
🗓 예보
- 해충 : 총채벌레류, 응애류, 가루이류, 진딧물류 등
< 과수 >
‼️ 경보
탄저병
⚠️ 주의보
- 병 : 과수화상병, 과수가지검은마름병, 점무늬낙엽병, 사과갈색무늬병, 노균병
- 해충 : 복숭아심식나방, 복숭아순나방,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 예보
- 병 : 포도 새눈무늬병·갈색무늬병
- 해충 : 응애류, 노린재류
🔻병해충발생정보 전문 보러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54416&fileSeCode=185001&fileSn=1
8월 20일
23
47
3
Farmmorning
이거 해충 알인가요?
3월 10일
6
8
Farmmorning
[ 병해충발생정보 제 11호 2023.08.16. ~ 08.31. ]
< 식량작물 >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병 :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세균벼알마름병
- 해충 : 혹명나방, 흰등멸구, 열대거세미나방
🗓 예보
- 해충 : 먹노린재, 벼멸구
< 채소 >
⚠️ 주의보
- 병 : 역병‧탄저병‧바이러스, 고랭지 무·배추 무름병, 뿌리혹병
- 해충 : 고추 담배나방
🗓 예보
- 해충 : 총채벌레, 응애류, 가루이류, 진딧물류 등
< 과수 >
⚠️ 주의보
- 병 : 과수화상병, 과수가지검은마름병, 사과탄저병, 사과갈색무늬병, 노균병, 점무늬낙엽병
- 해충 : 복숭아심식나방, 복숭아순나방,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 예보
- 병 : 포도 새눈무늬병·새눈무늬병
- 해충 : 응애류, 노린재류
🔻 병해충발생정보 전문 보러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46921&fileSeCode=185001&fileSn=1
23년 8월 21일
15
141
Farmmorning
저는 고추에살충제치고에초작업합니다. 이유는간단합니다. 유해충이풀에기생을만이하기에살충분무후젲초작업합니다
4월 15일
4
[ 병해충발생정보 제 10호 2023.08.01. ~ 08.15. ]
< 식량작물 >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해충 : 열대거세미나방, 멸강나방, 멸구류, 혹명나방
-병 : 도열병, 흰잎마름병, 깨씨무늬병, 잎집무늬마름병
🗓 예보
- 해충 : 먹노린재
< 채소 >
⚠️ 주의보
- 해충 : 담배나방(고추), 파밤나방
- 병 : 역병‧탄저병‧바이러스(고추), 고랭지 무·배추 무름병, 뿌리혹병
🗓 예보
- 해충 : 진딧물류, 총채벌레, 응애류, 가루이류 등
< 과수 >
⚠️ 주의보
- 병 : 과수화상병, 과수가지검은마름병, 탄저병, 사과갈색무늬병, 노균병
- 해충 :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꽃매
🗓 예보
- 병 : 점무늬낙엽병, 포도 새눈무늬병·갈색무늬병
- 해충 : 복숭아심식나방, 복숭아순나방, 응애류, 노린재류
🔻 병해충발생정보 전문 보러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46769&fileSeCode=185001&fileSn=1
23년 8월 12일
13
174
Farmmorning
[ 병해충발생정보 제 9호 2024. 7. 16. ~ 7. 31. ]
< 식량작물 >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 예보
⚠️ 주의보
해충: 열대거세미나방(옥수수), 멸강나방(벼 등), 벼멸구, 흰등멸구, 흑명나방
병: 잎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 예보
- 병 : 감자역병(고랭지 씨감자)
- 해충 : 먹노린재, 멸강나방, 벼물바구미, 멸구류, 혹명나방, 애멸구
< 채소 >
⚠️ 주의보
해충: 담배나방, 파밤나방
병: 바이러스 · 역병 · 탄저병, 고랭지 무 · 배추 무름병, 뿌리혹병
🗓 예보
- 해충 : 진딧물류, 총채벌레류, 응애류, 가루이류
< 과수 >
‼️ 경보
과수화상병
⚠️ 주의보
해충: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병: 과수가지검은마름병, 탄저병, 사과갈색무늬병, 노균병(포도)
🗓 예보
- 병 : 포도 새눈무늬병 · 갈색무늬병, 점무늬낙엽병
- 해충 : 복숭아순나방 · 복숭아심식나방, 응애류, 노린재류, 뽕나무깍지벌레
🔻병해충발생정보 전문 보러가기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View.do?cntntsNo=253602&fileSeCode=185001&fileSn=1
7월 21일
77
156
6
Farmmorning
[✍️규산황 영양제로 병해충 방제하기]
매일매일 농사공부 6탄 34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1월 27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규산황 영양제로 병해충 방제하기>입니다. 
오늘은 병과 해충 방제는 물론, 작물의 영양 공급까지 돕는 규산황 영양제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규산황 영양제란?
• 성분:
- 규산: 작물의 세포벽을 강화해 병충해를 예방하고 튼튼한 생육을 유도
- 바이오황: 살균, 살충 효과가 뛰어나 병해충 방제에 효과적
• 효과:
- 탄저병, 흰가루병, 노균병, 무름병 등 병해 예방
- 진딧물, 응애, 총채벌레, 가루이 등 해충 방제
- 영양제 역할로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저항성을 강화
🔻규산황 영양제 사용 전 유의사항
1️⃣ 농도 조절:
- 제품에 명시된 희석 비율을 따라 물에 섞음
- 보통 500~1000배로 희석
- 7~10일 간격으로 사용









2️⃣ 혼용 가능:
- 다른 친환경 약제나 영양제와 혼용 가능
- 담배나방 방제를 위한다면 나방진, 에코사이드, 님오일 등과 병행 사용 추천
3️⃣ 약효와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풀 10ml 첨가
🔻규산황 영양제 사용 시기
1️⃣ 예방적 사용:
- 병충해가 발생하기 전에 뿌려주면 예방 효과 극대화
- 아침 일찍이나 저녁에 사용해 작물 손상을 방지

2️⃣ 7~10일 간격으로 관리:
- 꾸준히 사용하면 병과 해충의 재발을 막고 작물의 면역력을 높임

🔻규산황 영양제 사용법
1️⃣ 엽면 살포:
- 작물의 잎 앞뒤와 줄기에 고르게 분사해 흡수력을 높임
- 총채벌레는 꽃 안, 진딧물은 잎 뒤에 있기 때문에 주의

2️⃣ 관주 사용:
- 뿌리 주변에 관주하면 영양 공급과 병 예방 동시에 가능

🔻작물별 병해충 방제 효과
1️⃣ 고추, 가지, 토마토
• 방제 대상: 진딧물, 총채벌레, 탄저병, 흰가루병
• 효과적인 사용법:
• 효과적인 사용법:
• 효과적인 사용법:
- 진딧물, 총채벌레 발생 초기에 뿌리기
- 달팽이 기피 효과도 있어 달팽이 피해 예방 가능
2️⃣ 오이
• 방제 대상: 흰가루병, 노균병, 가루이
• 효과적인 사용법:
- 발병 전 주기적으로 살포하면 예방 효과 90% 이상
3️⃣ 기타 작물
• 적용 대상: 병충해가 잦은 다양한 작물
🔻사용 시 유의사항
- 병 발생 부위를 집중적으로 처리
- 다른 약제와 혼용 시 효과 배가
규산황 영양제는 병해충 방제뿐만 아니라 작물의 면역력과 생육을 돕는 최고의 유기농 자재입니다. 꾸준히 사용해 건강한 작물 재배를 시작해보세요!
매일매일 농사공부 5탄 55편 [토양 영양소 결핍과 증상]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IxNDQx
🎓 공부자료를 확인하신 분은 "공부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월 27일
39
504
17
Farmmorning
댕댕 박사가 우리 집에”…광산구, 찾아가는 반려견 훈련사 운영
http://m.hntop.co.kr//article.php?aid=3805251525
4월 17일
2
Farmmorning
농작물은 주인의 발소리를 듣고 성장한다고 하듯 자주 가서 살피고 병충해 방제를 하다보면 반드시 옹골찬 결실로 보답한다는 철칙을 믿을 겁니다.
3월 26일
6
1
Farmmorning
[✍️겨울 해충 파헤치기]
매일매일 농사공부 5탄 179편
팜이웃 여러분 안녕하세요🤓
12월 10일, 농사공부 시간이 찾아왔어요.
오늘 공부해 볼 내용은 <겨울 해충 파헤치기>입니다.
겨울에도 병충해는 발생합니다. 특히 시설재배 작물의 경우 해충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12월~2월까지 발생하는 겨울 해충에 관해 공부하겠습니다.
🔻총채벌레류
- 꽃노랑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등은 오이, 고추, 토마토 등 시설 내에서 연중 발생
- 방제시기를 놓칠 경우 바이러스병을 전염시켜 큰 피해를 주는 해충
🔻진딧물류
- 엽채류와 과채류에서 주로 발생
-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어 직접적으로 가해
- 피해 작물에 그을음병과 바이러스병 등을 유발
🔻응애류
- 피해를 받으면 잎이 누렇게 변하여 말라 죽게 됨
- 방충망을 설치하는 등 시설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음
- 보이지 않더라도 끈끈이 트랩을 매다는 것이 좋음
🔻작은뿌리파리
- 밭작물, 채소, 화훼 등에서 전 생육기간 동안발생
- 뿌리에 해를 입혀 청고병과 같은 지상부 시들음증상을 유발
- 노란색 끈끈이 트랩을 지상부 50㎝ 이하에 설치하면 예찰에 도움 됨
시설 재배 환경은 해충들이 겨울에도 생존하기 좋은 조건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예찰을 통해 조기 발견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일농사공부 5탄 159편 [진딧물 방제방법]도 복습해 보세요!
https://farmmorning.com/communities/Y29tbXVuaXR5LXBvc3Q6MjUwNDMx
🎓 공부자료를 확인하셨다면 “공부 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요.
그럼, 내일 또 공부자료와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2월 10일
40
546
5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