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 도감

먹노린재 어떤 해충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속 / 종명

Scotinophara / lurida

목 / 과명

노린재목 / 노린재과

어떤 형태의 해충인가요?

우리나라에는 1971년에 최초로 보고된 해충이며 1997년부터 충북 산간지역인 옥천, 충남 서산지역에서 다량 발생하여 문제가 된 해충이다.
2001년 이후에는 중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1년에 1세대 발생하며, 낙엽 밑이나 말라죽은 잡초 속에서 성충으로 월동한 후 6월 상순부터 본논으로 이동한다.
본논에서의 월동세대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7월 상순이며, 약충은 7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발생하고, 새로운 성충은 8월 하순부터 수확기까지 발생한다.
성충의 평균 산란수는 30.7개이며, 최고 55개까지 산란한다.
성충은 난괴로 산란하는데 난괴당 알수는 12~16개이며, 알기간은 평균 4.3일이고, 약충기간은 45.8일이다.
예찰의 경우 먹노린재는 유아등에 잘 유인되므로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유아등을 설치하여 본본으로의 비래시기를 알 수 있다.
본논에서는 성충과 약충이 집중 분포하며, 논가운데보다 논둑에서 가까운 곳에 발생이 많으므로 논둑주위를 잘 살펴보아 발생여부를 예찰한다.

어떻게 생겨났나요?

성충의 몸길이는 약 8~10mm이고,몸전체가 흑색 또는 약간 암갈색을 띄는 경우도 있다. 
표면은 거칠고 광택이없다.성충의 머리는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더듬이는 길고, 5마디로 되어있는데 제5마디가 가장 길고 크다. 등판앞 가장자리의 양끝에 옆쪽으로 난 가시모양의 돌기가있다. 
알은 0.9mm 정도의 회백색 구형이며, 약충은 적갈색 또는 회갈색을 띤다.

어떤 피해를 입히나요?

성충과 약충 모두 벼의 줄기에 구침을 박고 즙액을 빨아먹어 피해를 준다.
흡즙 부위는 퇴색되며, 흡즙 부위에서 자란 잎은 피해를 받은 부분부터 윗부분이 마르고, 피해가 심하면 새로 나온 잎이 전개하기 전에 말라 죽는다.
주로 논 가장자리에 피해증상이 많이 나타나는데 생육초기에 심하게 피해를 받으면 초장이 짧아지고 이삭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출수 전후에 피해를 받으면 이삭이 꼿꼿이 서서 말라죽어 이화명나방 2화기의 피해와 같은 백수현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어떻게 방제 하나요?

겨울을 지난 성충의 방제적기는 겨울을 지난 성충의 이동 최성기인 6월 하순~7월 상순이다.
먹노린재는 약제에 의한 방제 효과가 높기 때문에 1회 살포로도 방제가 가능하다.
주변 논두렁이나 배수로 등 서식처가 될 만한 곳까지 약제를 살포하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출수 전.후에는 주당 5마리 이상일 경우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여 8월말 최성기의 밀도를 떨어뜨린다.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