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도감

흰날개무늬병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감염초기나 병의 진전이 경미한 경우에는 수년간 외관적으로 완전히 건전해 보인다.
그러나 병이 계속적으로 진전되면 잎색이 담황색으로 변하고, 어린가지의 생육이 불량하며, 조기에 낙엽된다.
가지의 선단부가 갑자기 고사되는 경우도 있으며 결국에는 나무 전체가 죽게된다.
특히 과수의 경우 병든나무에서는 화아분화가 왕성해지므로 개화기가 빨라지고, 과실이 많이 착과되나 작아지고, 광택이 나쁘며 과일표면이 쭈글쭈글하고 수분이 적다.
심하게 피해를 받은 나무의 뿌리는 이 병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흰색의 균사막으로 싸여 있으며 이 균사막은 시간이 경과하면 회색 내지 흑색으로 변한다.
굵은 뿌리의 표피를 제거하면 목질부에 흰색 부채모양의 균사막을 확인할 수 있다.
배수가 잘 이루어지거나 항상 토양 수분이 충분한 토양에서 병원균의 생육이 양호하다.
이와같은 토양에 잘게 부순 전정가지 같은 거친 유기물에서 병원균이 증식하여 더욱 심하게 발병된다.
지상부의 쇠약 증세는 뿌리의 상당 부분이 침해되어 병이 많이 진행된 후에 나타난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초기에는 수세가 약해지고, 화아분화가 촉진되며, 착과수가 증대되나, 과실이 소형화되고, 심하면 잎이 퇴록되거나 떨어지며, 위조증상이 나타난다.
뿌리를 캐보면 뿌리 곁 부분에 백색 내지 회백색의 균사속이 얽혀져 있으며, 땅가 부분의 수간에는 회백색의 균사등이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 병원균의 과수원내 유입을 최대한 막는 것이 최선이다.
- 발병정도가 심한 나무는 수년내에 재 발병하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 토양병해는 뿌리와 관계가 깊으므로 뿌리의 생장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강 전정, 과다 결실, 과도한 건조를 피해야하며 완숙 퇴비를 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최근 전정지를 잘게 부셔 유기물로 시용하는 농가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렇게 토양속으로 유입된 전정지는 토양 병원균의 생존을 도와 오히려 토양병해 발생을 조장할 수 있으므로 절대로 피해야 한다.

병원체 정보

  • Rosellinia necatrix Prill.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