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가루병 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자낭각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겨울을 지내고 1차전염원이 되며, 시설재배에서는 분생포자가 공기전염 되어 계속해서 발생한다. 본 병은 일반적으로 15~28℃에서 많이 발생되며, 32℃이상의 고온에서는 병 발생이 억제된다. 노지포장에서는 억제재배 오이에서 심하게 발생한다. 특히 일조가 부족하고, 밤낮의 온도차가 심하며, 다비재배를 할 때 병 발생이 많아진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주로 잎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잎의 표면에 소량의 흰가루가 밀생하며, 진전되면 잎 전체가 흰가루로 뒤덮힌다. 오래된 병반상에서는 흰가루가 회백색으로 변하고, 흑색의 소립점(자낭각)이 형성된다. 후에 병든 잎은 고사한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 수확 후 병든 잔재물을 제거하여 태운다. - 밀식을 피하고 통풍이 잘되게 하여준다. -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한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병원체 정보
- Sphaerotheca fusca (Fr.) S. Blumer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