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도감

오갈병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오갈병은 1965년부터 발생되기 시작한 이래 1970년대에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여 1973년에 대발생하였다.
경상남도 등 남부지역에 국한되어 발병되었으나, 점차 충남북, 강원 지역으로 발병 지역이 확대되었다.
벼 오갈병의 매개충으로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이 주로 매개하며, 성충이 보독충이면 그 유충도 바이러스를 가지고 태어나는 경란전염을 한다.
벼의 바이러스 감염은 대부분 분얼 말기인 7월 말경 발병이 되지만, 조기재배의 경우에는 출수기에 발병하는 일도 있다.
전염경로는 보독 끝동매미충이 논둑, 제방, 또는 논바닥이 갈라진 틈에서 겨울을 지내고 봄이 되면 우화하여 제1회 성충이 되고 이 충이 못자리에 비래해서 감염시킨다.
바이러스의 전염은 제2회 성충을 전후한 시기인 제1세대 약충, 제2세대 성충과 약충, 제3세대 성충 등이 가장 큰 피해를 준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병든 식물은 잎 전체가 짙은 녹색으로 변하고 엽면 상에 위황색 혹은 흰색반점들이 존재하며 식물체가 크게 위축된다.
반점들은 크기가 다양하고 엽맥을 따라 국한된 줄무늬를 함께 형성한다.
반점은 엽초에서도 관찰되며 잎의 색깔은 정상보다 짙은 녹색을 띤다.
경우에 따라서는 감염된 식물체의 오래된 잎의 끝부분이 황화되고 이러한 황화현상이 가장자리를 따라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감염된 벼는 비정상적으로 많은 분얼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생육초기에 감염되면 분얼수는 오히려 감소되고 뿌리의 생장은 크게 위축되면서 잔뿌리들이 수평으로 뻗는 경향을 보인다.
병든 벼는 보통 짙은 녹색 혹은 옅은 녹색으로 수확기까지 살아남지만 이삭을 형성하지 못하거나 이삭을 형성하더라도 낱알수가 적고 부실하며 대부분 충실하지 못한 것이 많다.
그리고 낱알들은 짙은 갈색으로 얼룩져 있으며, 현미에도 암갈색의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 논에 잡초를 철저히 제거하며, 벼 오갈병이 매년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밀, 보리 재배를 피한다.
-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며, 잡초가 많은 논둑, 제방 또는 보리밭 근처에 모판 설치를 금한다.
-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하며, 매개충을 철저히 방제한다.

병원체 정보

  • Rice dwarf virus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