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도감

덩굴쪼김병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병원균은 토양전염성이며, 병든 식물체의 조직 속에서 주로 후막포자로 월동한다.
병원균은 곁뿌리가 나온 부분으로 침입하여 도관부를 침해한다.
오이 재배시 가장 문제되는 병해였으나 요즘은 저항성인 호박이나 박을 대목으로 사용함으로 피해를 많이 줄이고 있다.
물로 이동되는 거리는 매우 짧고, 주로 흙 입자에 묻혀 농기구나 사람 등을 통해 먼 거리로 이동된다.
병원균은 주로 가는 뿌리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는데, 포장 정식 직후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서늘한 지방에서는 병발생이 적고, 감염되어도 병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다가 생육 중기나 후기에 기온이 올라가면 병증상이 나타난다.
유묘기의 발병적온은 18~20℃이며 생육기 발병적온은 24~30℃이다.
16℃이하나 35℃이상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산성토양 (pH 4.5-5.5)과 사질양토에서 발생이 많지만 토양산도나 수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병원균은 토양중에 널리 분포하며, 월동체인 후막포자는 기주가 없이도 토양내에서 수년간 생존하기 때문에 방제가 매우 어려운 병해이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전생육기에 발생되는데, 시설재배 연작지에서 피해가 크다.
유묘기에는 주로 잘록증상을 나타내며, 생육기에는 그루 전체가 시들음증상을 나타낸다.
시들음증상을 보인지 3~5일이 지나면 회복이 어렵고, 식물체는 곧 죽는다.
기온이 상승하고 건조한 낮 동안에 심하게 시들고, 아침에는 다소 회복되기도 하는데, 역병과는 달리 지상부위는 직접 침해를 받지 않지만 과실이 작고, 불량해진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 저항성인 박을 대목으로 사용하여 병 발생을 방지한다.
- 미숙퇴비 시용을 금하고 토양내 염류 농도가 높지 않게 주의한다.
- 토양을 오랜기간 물가두기를 하거나 태양열소독을 하면 병원균의 밀도를 줄일 수 있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병원체 정보

  • Fusarium oxysporum Owen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