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도감

과수화상병어떤 병인가요?

작물별 증상, 발생환경, 방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작물을 선택하세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 월동 : 세균은 오래된 궤양의 주변에서 월동한다.
○ 전반 : 궤양에서 분출되는 세균액의 세균이 곤충과 비에 의해 다른 나무나 가지로 이동벌이 세균을 꽃에 옮긴다.
○ 침입 : 세균은 꽃의 밀선을 통해 침입하고, 기공과 상처를 통해 잎에 침입한다.
○ 증식 : 세균은 세포 간극에서처 증식하고 퍼진다.
○ 병징발현 : 감염된 꽃은 쭈그러들고 짙은색으로 변해 죽고 감염이 다른 꽃, 가지, 잎으로 번지게 되고 심해지면 새로운 가지와 줄기에 새로운 궤양이 형성한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 병든 꽃은 수침상이 되고 쭈그러든 후 흑갈색으로 변하고 꽃이 달린 가지나 인접한 가지로 진전되어 잎맥을 따라 흑갈색의 병반이 생기는데 병이 진전됨에 따라 병든 잎은 말리고 쭈그러들어 보통은 가지에 매달려 있다.
○ 병든 가지의 수피는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물러졌다가 후에 위축되고 단단해지고 잔가지의 끝부분은 구부러진다.
○ 열매가 달린 잔가지로부터 병징이 아래쪽의 큰 가지로 진전되어 궤양병반이 형성되고 궤양 병징을 보이는 가지의 수피는 수침상의 병반을 나타내고 짙은 색으로 함몰된 채 마르면서 궤양이 커져 가지를 둘러싸면 그 윗부분은 고사한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1) 발생과원
○ 발생과원 내 전체 기주식물은 이동을 금지하고 모두 폐기한다.
- 폐기순서는 발병주 - 인접주 - 발병과원 내 기주식물 순으로 한다.
- 폐기는 굴취한 후 매몰을 원칙으로 한다.
*발병과원 : 하나의 과원에서 동일한 경작자가 재배하고 있는 기주 식물에서 과수화상병이 발생되어 확진된 과원
○ 기타사항
- 발생과원 내 벌통은 폐기하거나 이동을 제한한다.
- 방제도구, 방제복 등 방제 및 전정 등에 사용한 농기구는 전체 소독한다.
- 발생과원 내 기주식물 재배를 3년간 금지한다.
* 단 과수화상병 박멸검증 연구 등 연구 목적으로 폐기과원에 식재를 희망할 경우 확산방지, 인위적 전염방지 등의 제한요건이 포함된 연구계획서를 제출하고 농촌진흥청(재해대응과, 작물보호과)의 허가를 득한 후 한시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2) 발생구역
○ 병 발생 확진 후 발생과원 인근 기주식물을 대상으로 1개월 동안 주 1회 집중예찰을 실시한다.
○ 예방을 위하여 동계방제 1회와 만개후 2회 등록된 약제로 방제한다.
○ 방제도구, 방제복 등 방제 및 전정 등에 사용한 농기구는 전체를 소독한다.
○ 발생구역 밖으로 기주식물 및 벌통의 이동을 금지한다.
○ 발생구역은 발생포장의 가장 바깥의 발병주를 중심으로 반경을 설정한다.
(3) 방제구역
○ 병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 병 발생과원을 중심으로 5~7월 동안 매월 1~2회 주기적으로 병 발생상황을 예찰한다. 또한, 농가의 자체 예찰 및 의심주에 대한 자진신고를 적극 유도한다.
○ 예방을 위하여 동계방제 1회와 만개 후 2회 등록된 약제로 방제한다.
○ 방제도구, 방제복 등 방제 및 전정 등에 사용한 농기구는 전체를 소독한다.
○ 방제구역 밖으로 기주식물 및 벌통의 이동을 금지한다.
(4) 관리구역
○ 병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병 발생상황을 예찰한다.
○ 예방을 위하여 동계방제 1회와 만개 후 2회 등록된 약제로 방제한다.
(5) 관리구역 외 기주식물 재배 지역
○ 전체과원을 대상으로 매년 2회 이상 발생상황을 예찰하고 동계방제 1회와 만개 후 1회(권장) 등록된 약제로 방제한다.

병원체 정보

  • Erwinia amylovora (Burrill) Winslow et al.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