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 - 덩굴쪼김병

발생환경
병원균은 토양전염성이며, 병든 식물체의 조직 속에서 주로 후막포자로 겨울을 지낸다. 병원균은 곁뿌리가 나온 부분으로 침입하여 도관부를 침해한다. 오이 재배 시 가장 문제되는 병해였으나 요즘은 저항성인 호박이나 박을 대목으로 사용함으로 피해를 많이 줄이고 있다. 물로 이동되는 거리는 매우 짧고, 주로 흙 입자에 묻혀 농기구나 사람 등을 통해 먼 거리로 이동된다. 병원균은 주로 가는 뿌리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는데, 포장 정식 직후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서늘한 지방에서는 병 발생이 적고, 감염되어도 병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다가 생육 중기나 후기에 기온이 올라가면 병 증상이 나타난다. 유묘기의 발병적온은 18~20℃이며 생육기 발병적온은 24~30℃이다. 16℃이하나 35℃이상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산성토양 (pH 4.5-5.5)과 사질양토에서 발생이 많지만 토양산도나 수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병원균은 토양중에 널리 분포하며, 월동체인 후막포자는 기주가 없이도 토양내에서 수년간 생존하기 때문에 방제가 매우 어려운 병해이다.
증상
유묘기에는 잘록증상으로 나타나며, 생육기에는 잎이 퇴록되고, 포기 전체가 서서히 시들며 황색으로 변해 말라죽는다. 시들음증상을 보인지 3~5일이 지나면 회복이 어렵고 식물체는 곧 죽는다. 주로 하엽부터 황화되고, 한 쪽의 줄기가 먼저 시드는 경향을 보이는데, 어떤 때는 갑자기 포기 전체가 시들기도 한다. 병원균은 주로 곁뿌리가 나온 부분으로 침입하여 도관부를 침해하는데 뿌리와 줄기 아래는 암갈색으로 썩는다. 간혹 끈적끈적한 수액이 병든 조직으로부터 유출되기도 하고, 줄기가 갈라지기도 한다. 기온이 상승한 건조한 낮 동안에는 심하게 시들고 아침에는 다소 회복되기도 하는데, 과실이 착과된 이후에 갑자기 시드는 경우가 많다.
예방법
- 이어짓기를 피하고 병이 심하게 발생된 포장은 5년 이상 비기주 작물로 돌려짓기를 한다.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박을 대목으로 사용한다. - 석회시용으로 토양산도를 6.5~7.0으로 조절하고, 수분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사질토양에서는 재배를 피한다. - 토양선충이나 곤충에 의해 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관리하고, 가축분 등 미숙퇴비 사용을 피하고 다비에 의한 염류집적으로 작물의 잔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 답전윤환하거나 토양을 1달 이상 담수하면 토양중의 병원균 밀도를 낮추고 토양 환경을 다소 개선할 수 있다.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NCPMS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