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실

매실·병해충상담
전남여수 박창식
매실나무을 큰가지와 새로나온 가지을 모두 전정을 실시하였습니다.왜 그렇게 해야하는 이유는 작년에 가지마다 벌래가 생겨서 수확을 하지 못하여서 이렇게 한번 시도해 보는되 이경우 농약은 무슨 약이 좋은지 알려주셰요
경기가평나주신원농장
매실나무의 병충해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약제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병충해 증상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방제법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매실나무의 병충해 방제는 연 3-4회 방제가 필수라고 합니다.
방제시기로는 1월 중 월동 병충해 방제, 2월 하순~3월 중순 곰팡이병 위주 방제, 3월 하순 ~ 4월 중순 흑성병, 진딧물 방제 , 4월 하순 ~ 5월 상순 흑성병, 유리나방 ,잎말이나방이 필수 방제이며 매실 수확 후에는 깍지벌레,유리나방 발생 시 1~2회 방제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현재 발생된 병충해를 확인 하시고 가까운 농약방에 방문하셔서 적절한 처방 후 살포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경북구미복숭아나라
병충해의 병징을 정확히 알려주시고 사진도 올려주시면 좋은답변 나올겁니다.
경북성주이재준
감사합니다 1입춘경유황방제하여도될까요고수님의견부탁드림니다

매실모임의 연관글

📢 나무가 크고 곧게 형성되도록 지금 꼭 해야 하는 전정이지만, 제대로 하지 못하면 강한 신초가 발생할 수 있어 동계 전정은 주의가 필요해요! <전정 순서> 나무의 상태와 모양을 잘 관찰한 다음 전정 방침을 세워야 해요. 1. 골격지의 선단으로부터 기부에 걸쳐 수형을 어지럽히는 웃자란 가지와 지나치게 커진 곁가지 등의 불필요한 가지를 잘라내세요. 2. 세부적인 전정은 원가지, 덧원가지의 선단으로부터 기부 쪽으로 내려가면서 전정을 실시하되 강하거나 쇠약한 곁가지를 제거해 곁가지와 열매가지를 배치해요. 3. 수형에 지나치게 집착하게 되면 강전정이 되기 쉬우므로 가까이에 가지가 없는 경우에는 조금 강한 가지라도 남기는 것이 좋아요. <원가지와 덧원가지의 전정> 원가지와 덧원가지는 상당량의 무게를 갖게 돼요. 충분한 각도를 유지시키고, 그 선단부를 1/2~1/3씩 매년 잘라 굵고 곧게 신장시켜 수관을 확대시키며 밑으로 처지는 일이 없도록 하세요. <곁가지의 전정> 곁가지는 열매가지를 붙이는 가지예요. 곁가지가 많아야 결실량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그 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일조와 통풍이 나빠져 나무 내부의 잔가지가 말라죽고, 꽃눈 형성이 나빠지며 낙과가 심해져 수량이 감소해요. 1️⃣ 원가지 또는 덧원가지 내의 곁가지 중 웃자라 세력이 강한 곁가지는 잘라 없애거나 짧게 잘라 새로운 약한 곁가지로 만들어 가세요. 2️⃣ 오래된 늙은 곁가지는 길고 늘어진 빈약한 열매가지를 발생시켜 혼잡하기만 하므로 짧게 잘라 원가지와 덧원가지 가까이에 고루 배치되게 해주세요. 3️⃣ 오래된 곁가지에 발생된 열매가지는 결실이 나쁘고, 낙과가 심하며 과실 비대도 좋지 않아요. 3~4년 된 곁가지는 제거해 새로운 곁가지를 만들어주세요. 출처: 농촌진흥청 농업기술길잡이
·
8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