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마

고구마·병해충상담
전남나주 들무새
고구마 소담미를 심었는데 캐보니 대부분 사진처럼 벌레가 먹은 것처럼 보이는데 그 원인은 무엇이며 예방은 어떻게해야 하는지요?
Farmmorning
경기가평나주신원농장
사진상으로 보아 굼벵이의 피해로 예상됩니다.
고구마 밭에 발생하는 굼벵이의 종류는 큰검정풍뎅이, 첨검정풍뎅이, 애풍뎅이가 있습니다 대부분 큰검정풍뎅이(95%)가 피해를 주고있으며 큰검정풍뎅이는 1년에 1회 발생합니다 대부분이 3령 애벌레로 땅속(20~80cm)에서 겨울을 지내고 어른벌레는 야간의 지상 활동 이외에는 땅속에 머물면서 30여일 동안에 20~40개의 알을 식물체 뿌리 근처 흙 속에 낱개로 낳습니다 고구마 밭에서 풍뎅이류 어른벌레 발생량은 7~8월 강우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애벌레는 7월 하순~8월 상순부터 발생합니다.
알에서 깨어난 굼벵이는 고구마의 덩이뿌리 부위로 이동하여 덩이뿌리를 파먹거나 상처를 내어 외형을 손상시켜 상품가치를 떨어뜨리고 상처부위로 병원균 감염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방제 방법으로는 미숙퇴비는 수분 함량이 많아 굼벵이 알 발육 및 부화에 좋은 조건을 제공하므로 굼벵이를 유인합니다 따라서 잘썩은 퇴비를 사용해야 하며 전년도에 피해가 많은 밭일 경우 9월 상순부터 급격히 굼베잉의 발생이 증가하므로 가을갈이를 25~30cm까지 깊게 합니다 꺾꽂이 전에 전용 약제 토양혼화처리를 하고 8월 상~중순쯤에 약제를 살포하면 어른벌레를 방제할 수 있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충남논산감자15549
긋빙이가먹어네요심을때약처리하세요
충남당진성산리농장
굼벵이가 키스했네요~살충제 살포하셔야합니다.

고구마모임의 연관글

🌱 안녕하세요! 😄 농업마켓365입니다! 🌱 오늘 전달드릴 내용은 고구마 재배 방법 및 꿀팁 입니다! 수확량을 극대화하고 품질 좋은 고구마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를 잘 관리해야 합니다. 1. 고구마 재배 환경 및 토양 준비 1) 배수: 물 빠짐이 좋은 사질토(모래 함량이 높은 흙)가 이상적 2) 밭 준비: 심기 2~3주 전 퇴비(밑거름) 섞어주기 3) 고구마는 배수가 안 좋은 땅에서 뿌리썩음병이 잘 생기므로 두둑을 높게 만듦 (30~40cm) 2. 고구마 심는 방법 (순자르기 & 정식) 1) 심는 시기 - 노지재배: 5월 중순~6월 초 (기온이 15℃ 이상 유지될 때) - 하우스 재배: 3~4월부터 가능 2)고구마 순(묘목) 정식 방법: - 줄기 길이는 25~30cm, 잎은 4~6매 정도 남기고 심음 - 심는 방법은 ① 수직 심기 ② 비스듬히 심기 ③ 누워 심기 방식이 있음 ※일반적으로 누워 심기(줄기 일부가 땅에 묻히는 형태)를 하면 많은 고구마가 달림※ 3. 고구마 묘 선택 요령 1) 마디 간격이 짧고 잎이 건강한 묘 2) 병해충이 없고 뿌리 발달이 좋은 묘 4. 고구마 재배 중 관리 (물 관리 & 비료 시비) 1) 관수 - 정식 후 첫 10일간 충분한 물 공급 (뿌리 활착 중요) - 이후 너무 많은 물을 주면 덩이뿌리(고구마)가 길쭉하게 자라므로 과습 주의 5. 추비(추가 비료 주기) - 고구마는 질소비료 과다 사용 시 덩이뿌리 형성이 약해지고 줄기만 무성해짐 - 가리(K) 함량이 높은 비료를 추가하면 고구마가 튼튼하게 자람 ※꿀고구마 제품 추천※ 6. 병해충 관리 1)총채벌레 & 진딧물 - 초기 잎을 갉아먹으며 바이러스를 옮김 → 푸른색 끈끈이 트랩 설치 - 친환경 방제: 님오일, 비티균, 백강균 사용 ※총채진나방킬 제품 추천※ 2) 고구마 썩음병(검은무늬병) - 배수가 안 될 경우 발병 → 두둑 높이기, 배수로 정비 필수 - 감염되면 제거 후 병든 식물 잔재 태우기 3) 두꺼비벌레, 선충 피해 - 두꺼비벌레 유충이 고구마를 갉아먹음 → 선충 방제용 친환경 유황제제 사용 가능 - 선충 예방용 미생물제(백강균 비티균 계열) 사용 ※총채진나방킬 제품 추천※ 📌 고구마 재배 핵심 요약📌 1. 배수 잘 되는 땅에서 재배 (두둑 30~40cm) 2. 누워 심기 방법으로 많은 수확량 확보 3. 과습 금지! 너무 많은 물 주면 길쭉한 고구마 발생 4. 가리 비료 추가 공급하여 튼튼한 고구마 생산 5. 병해충 예방 (총채벌레, 선충 방제 & 썩음병 예방) 6. 수확 후 10~15일 숙성하면 당도 증가
좋아요27·댓글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