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모닝

경기고양 농업마켓365
비료전문
농자재 전문 판매 업체·
🌱 안녕하세요! 😄 농업마켓365입니다! 🌱
오늘 전달드릴 내용은 뜨거운 여름, 일소피해 알아보자 입니다!!

폭염에 타들어가는 작물들… 지금 꼭 해야 할 4가지 관리법

본격적인 고온·폭염기가 시작됐습니다.
작물도 사람처럼 더위에 지치고, 병까지 쉽게 오죠.
지금 시기 작물의 폭염 스트레스를 줄이고 품질을 유지하려면 다음 4가지는 꼭 실천해보세요!

1. 일소·엽소 피해 예방 = 피막 형성 + 칼슘 보충
• 자외선 차단제나 탄산칼슘을 엽면에 살포하면 햇볕 데임(일소), 잎타는 현상(엽소) 예방 효과!
• 특히 칼슘 결핍은 열매 터짐(열과), 기형과, 무름병 등으로 바로 이어지니
칼슘제를 엽면시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추천 시기 : 아침 또는 해지기 전
※ 칼슘 + 붕소 혼합 제품 사용하면 착과율 향상에도 도움!

2. 고온기 생리장해 예방 = 아미노산 공급
• 고온기에는 뿌리 활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흡수 잘 되는 저분자 아미노산이 필요합니다.
• 폭염 스트레스 회복 + 생육 유도 + 열매 품질 유지 효과가 큽니다.
※ 천연 유래 아미노산(해조류·식물성 등)이 흡수율이 높음
※ 칼슘과 같이 주면 상호 상승 효과

3. 뿌리 활력 회복 = 관주용 자재 활용
• 폭염으로 인한 수분 부족과 토양 열기는 뿌리에 직접적인 피해를 줍니다.
• 유기산, 해조류 추출물, 뿌리활력제 등으로 관주하면
뿌리 손상 회복 + 흡수력 향상 효과!
※ 배수가 잘 안 되는 밭은 관주 후 배수 관리 꼭 병행

4. 고온성 병해충 방제 = 환경성 해충 증가 시기
• 고온다습 환경에서는 총채벌레, 응애, 담배나방, 탄저병 등 병해충 발생 밀도가 폭발적으로 늘어납니다.
• 특히 열매 속 파고드는 나방류는 초기에 방제하지 않으면 피해가 심각합니다.
※ BT균, 바실러스균, 유기농 살균제 등 친환경 자재 혼용 방제 추천
※ 곰팡이균성 병(탄저, 역병 등)은 예방 위주 살포

4. 마무리 Tip
✔ 고온기엔 엽면시비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 오전 6~8시 또는 해지기 직전 살포
✔ 고온·건조·직사광 아래서 뿌리면 오히려 작물 스트레스↑
충남서산 대산농사대장
서산농약사
농사대장 씨앗백화점·
안녕하세요 농사대장 입니다 🫡

모두싹프리미엄 제품 설명드리겠습니다

✅ 제품명
모두싹 프리미엄
김일호 식물박사 연구개발한 제품

✅ 주요 특징
병해충 예방 및 억제

곰팡이병(잿빛병, 탄저병 등), 세균병(점무늬병, 시들음병 등) 발생 전후에 예방과 억제 효과

충해(진딧물, 총채벌레, 응애 등)에 대한 기피 작용 및 번식 억제

생리활성 촉진

식물 내 생리활성을 증진시켜 면역력 강화

고온, 저온, 수분 부족 등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강화

전 작물 사용 가능

고추, 오이, 토마토, 배추, 무, 과수 등 모든 작물에 안전하게 사용 가능

잔류 걱정 없음

천연 유래 성분 기반으로 잔류 염려 없이 수확기까지 사용 가능

✅ 사용 방법
사용 시기 사용량 희석배수
7일 간격 / 병해충 발생 전후 1회 1~2회 500~1000배

※ 병해 초기에는 짧은 간격으로 연속 2회 사용 권장

✅ 기대 효과
병해충의 초기 감염 차단

작물의 면역 체계 활성화

작물 생육 균형 및 상품성 향상

약해 없이 지속적인 병해충 관리

✅ 함께 사용하면 좋은 제품
활력제/아미노산제와 혼용 시 작물 회복력 및 생장력 시너지

전착제와 혼용 시 효과 확산 및 침투력 증가

비료영양제 공동구매



모두싹세트 구매시 킬레이트 칼슘 전착제 한병더 서비스
Farmmorning
Farmmorning
Farmmorning
+2
서울송파 팜모닝
공식
팜모닝공식 계정입니다.·
📢 [농사커리큘럼]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 💦
여름철 폭염 속 농작업은 온열질환에 매우 취약합니다. 특히 고령층 농업인에게 온열질환자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폭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농작업을 할 수 있는 행동 요령을 알아봅시다! ⚠️
그럼 콘텐츠 요약 내용은 어떤 형식인지 알아봅시다 ⬇️
1. 온열질환 현황
- 2024년 온열질환자 중 농업 분야 671명 (약 18%)
- 60세 이상 고령층 발생 약 69%
- 발생 장소는 논·밭 (78%)
- 발생 시간대는 12~14시 (22%)에 가장 많음
- 7월(24%)과 8월(52%)에 집중 발생
2. 농작업 전 준비사항
- 날씨와 체감온도 확인
- 시원한 물 준비
- 챙 넓은 모자, 밝은색 헐렁한 작업복 착용
- 휴대용 선풍기, 보냉 장비 챙기기
- 더운 시간대(낮 12~17시) 작업 피하기
3. 농작업 중 점검사항
- 15~20분마다 시원한 물 마시기
- 체감온도 33℃ 이상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 작업 강도 조정 및 작업자 교대
- 체감온도 35℃ 이상 시 작업 중단
- 온열질환 증상 주기적 확인
4. 농작업 후 관리 요령 및 응급처치
- 그늘에서 수분 보충
- 몸 씻거나 시원한 곳에서 휴식
- 열탈진, 열사병 증상 시 즉시 119 신고
- 체온 낮추며 구급대 기다리기
5. 폭염 영향 예보 및 체감온도 계산 시스템
- 농촌진흥청 '농업인안전365' 누리집에서 '농업인 맞춤형 폭염 영향 예보' 및 '체감온도 계산기' 제공
- 기온과 습도 입력 시 실시간 체감온도와 안전 행동 요령 제공

※ 위 내용은 농촌진흥청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