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 아이콘
사과
77,135 명
사과 농사도우미
🚨 과원 봄철 저온/서리 피해 주의하세요 🚨

🔎 저온/서리 발생 및 피해 상습지?
❍ 서리는 대체로 낮 기온이 낮고 오후 6시 기온이 10℃, 오후 9시 기온이 4℃ 이하이고 하늘이 맑고 바람이 없을 때 주로 발생해요.
❍ 산지로부터 냉기류의 유입이 많은 곡간(하천이 흐르는 골짜기, 계곡), 평지 사방이 산지로 둘러싸여 분지 형태를 나타내는 지역 등 과원에서 피해 발생률이 높아요.
❍ 저온/서리 상습 피해가 발생하는 지형 조건으로는 이동성 고기압이 자주 통과하는 곳, 내륙기상으로 기온의 일변화가 심한 곳 등이 있습니다.

✅ 피해 예방대책은?
❍ 방상팬에 의한 송풍법(送風法)
- 철제 파이프 위에 설치된 전동 모터에 날개(fan, 扇)가 부착되어 있어 기온이 내려갈 때 모터를 가동해 송풍시키는 방법(6m 이상)
- 작동온도는 발아기에는 2℃, 개화기 이후에는 3℃ 정도 설정

❍ 살수법(撒水法)
-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살수로 물이 얼음으로 될 때 방출되는 잠열(潛熱)을 이용하는 방법
- 과수원의 온도가 1~2℃ 되면 살수 시스템을 가동하고 일출 이후에 중단
* 기온이 빙점일 때 살포를 중지하면 나무 온도가 기온보다 낮아 피해가 크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중단되지 않도록 충분한 물량 확보 필요

✅ 피해 과원 사후대책
❍ 피해를 본 과원에서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다음 해 개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적과, 병해충 관리 등 재배관리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관리를 철저히 진행해 주세요.
❍ 결실량 확보를 위하여 중심화에 피해를 본 경우 피해 상황을 잘 확인하고 측화를 선택하여 인공수분 실시하는데 수관 상부의 꽃들은 피해가 비교적 적게 받으므로 정성을 기울여 수분 작업을 실시합니다.
❍ 열매솎기는 착과가 확실시된 다음 실시하고 마무리 열매솎기도 기형과 등 장해가 뚜렷이 확인되는 시기를 기다려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주간 작업 알림을 놓치지 않고 받아 보고 싶다면?
사과 농사도우미 이웃 추가👆🏼

출처: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Farmmorning
사과 농사도우미
3월 2주 차 사과 모임 작업 알림 🔔

[🌞 날씨] 다음 주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은 평년(3.8~5.2℃)보다 높겠습니다.
강수량은 평년(1.8~14.4㎜)과 비슷하겠습니다.
저수율 : 72.1% (평년 74.4%의 96.9%) / 2. 27. 기준)


<좋은 묘목 선택요령>
과수는 영년생 작물로 초기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좋은 묘목의 선택은 과원 경영의 성공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단계예요!

❍ 품종이 정확하여야 해요.
❍ 대목은 자근으로 잔뿌리가 많고 심을 토양에 알맞아야 해요.
❍ 병해충(바이러스)이 없어야 해요.
❍ 마디가 굵고 짧으며 충실한 잎눈이 붙어 있어야 해요.
❍ 재식 후 토양이 안정된 상태에서 대목을 15~20cm 정도 노출 시킬 수 있어야 해요.
❍ 접목부위 위쪽 10cm 위치의 줄기 직경이 11mm 이상이면 적합해요.
❍ 접목부위에서 40cm 윗부분부터 길이 30~60cm 측지가 10개 이상 발생한 묘목이면 좋아요.
❍ 측지는 분지 각도가 넓고 세력이 너무 강하지 않으며 공간적으로 골고루 위치하면 좋아요.

<묘목 심기>

❍ 묘목은 낙엽이 진 후 땅이 얼기 전에 심는 가을심기와 이듬해 봄에 땅이 풀린 다음 심는 봄 심기가 있어요.
❍ 겨울이 춥고 건조한 지역에서는 가급적 봄에 심는 것이 언 피해 등을 줄일 수 있어요.
❍ 봄 심기는 뿌리가 활동하기 이전인 이른 봄에 토양이 해빙되면 즉시 심어야 하는데, 늦어도 3월 중·하순까지는 심어야 해요.
- 심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발아가 더디고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도 불량해짐
- 봄에 심을 경우는 뿌리가 흙과 잘 밀착되도록 하고 뿌리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흙을 덮고 물을 10~20ℓ 준 다음 물이 흡수된 후 복토해야 생육이 좋아짐
❍ 심는 거리는 과종, 토양의 비옥도, 품종의 수세, 나무 모양 및 전정 방법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해요.
- 토양이 비옥하고 수세가 강한 품종일수록 심는 거리를 넓히고 척박한 토양이나 수세가 약한 품종일 경우는 좁혀서 심음

<동계 전정 시 준수사항>

❍ 과수화상병 등 주요병해의 사전예방을 위하여 과수원을 청결하게 관리하여 과수원 출입용 신발과 작업복은 외부 활동용과 구별 사용하세요.
❍ 병해충 등으로 오염된 흙이 작업자의 신발 등의 매개로 인하여 기존 오염되지 않은 과원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주변 과수원 방문 자제해요.
❍ 사용한 전정가위는 반드시 철저히 소독 후 다른 나무를 전정하는 데 사용해요.
❍ 과원마다 전정가위를 따로 구비하여 해당 과원에서만 사용하도록 하며 농작업을 하는 사람(작업단)의 과수원 출입 시 작업 도구를 반드시 소독해 주세요.


🔔 주간 작업 알림을 놓치지 않고 받아 보고 싶다면?
댓글로 “알림 신청”이라고 달아주세요.

출처: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Farmmorning
사과 농사도우미
2월 3주 차 사과 모임 작업 알림🔔

[🌞 날씨] 다음 주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평년(0.8~2.2℃)과 비슷하거나 높겠습니다.

강수량은 평년(1.6~10.3㎜)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저수율 : 71.4% (평년 73.0%의 97.8% / 2.6 기준)

1️⃣ 정지·전정
겨울철 전정은 일반적으로 나무의 골격을
재배 형태에 맞게 수형을 교정하거나
나무 세력을 확보하기 위함이에요.

꽃눈 비율 60% 이하 👉 열매 가지 많이 남기기
꽃눈 비율 60~65% 👉 평년처럼 가지치기 실시
꽃눈 비율 65% 이상 👉 평년보다 가지치기 많이 해 불필요한 꽃눈 제거

수관 내부에 햇볕이 골고루 들어갈 수 있게 해
과실이 달리는 부분을 고르게 분포시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해주세요.

수세가 약한 나무 👉 약한 가지는 솎아주고, 발육지와 도장지 많이 남김
수세가 강한 나무 👉 약전정으로 가능한 한 눈수를 많이 남기고, 수광 상태를 방해하는 가지는 솎아줌

2️⃣ 과수 동해 피해 육안 감별법

시료 채취 → 수삽 → 조직 해동 → 조직 절단 → 관찰

① 꽃눈이 있는 결과지를 무작위로 채취해 충분한 시료를 확보해요.

② 가지를 수삽하기 위한 오아시스를 준비한 뒤,
넓은 그릇에 오아시스를 올려놓고, 조금씩 물을 부어
오아시스 위쪽 끝까지 충분히 물을 흡수 시켜요.
20~30cm 길이로 자른 가지를 물이 흡수된 오아시스에 꽂아요.

③ 수삽한 가지를 0℃ 이상의 상온 혹은 10℃ 항온기에 넣어요.
0℃ 이상의 상온에서는 5일, 10℃의 항온기에서는 3일을 경과 시킵니다.

④ 결과지에 부착된 눈을 면도칼로 따낸 후
깨끗한 종이 위에서 눈을 종단면으로 정확히 자른 뒤,
화아원기의 갈변 여부를 확인해요.

⑤ 수피에서 2~4mm 정도를 자르고, 유관 속의 갈변 여부도 확인합니다.

3️⃣ 동해 피해 사후 관리 대책

✅ 동해 피해가 심하게 나타나는 나무는
굴취하고 재정식을 해야 해요.

피해가 가벼운 나무는 고사된 수피를 제거하고,
피해부 톱신페스트를 도포해주세요.

✅ 피해를 받아 수세가 떨어진 나무는
꽃을 제거해 결실을 최소화 해요.

요소 0.3% 또는 4종 복비를 엽면시비해 수세를 회복하고,
나무좀 트랩을 설치해 나무좀으로 인한
2차 병해충 피해를 예방하세요.

🔔 주간 작업 알림을 놓치지 않고 받아 보고 싶다면?
댓글로 “알림 신청”이라고 달아주세요.
Farmmorning
사과 농사도우미
다음 주 사과 모임 작업 알림🔔

1️⃣ 사과 동해피해를 예방하려면?

✅ 배수를 확인하세요.
과습 시 뿌리가 얼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어요.

✅ 냉기 유입을 차단하세요.
방풍림이나 방풍망을 설치하면 냉기 유입 차단에
아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어요.

2️⃣ 이미 동해피해를 입었다면?

✅ 고사된 부분의 수피를 제거하고,
피해부위에 톱신페스트를 도포하세요.

다만, 동해피해가 너무 심할 경우
해당 나무는 굴취하고 재정식 하는 것이 좋아요.

✅ 피해로 수세가 떨어진 나무는
요소 0.3% 또는 4종 복비를 엽면시비 하세요.

수세가 약해졌다면 꽃 필 무렵 꽃을 제거해
결실을 최소화 하세요.

3️⃣ 사과를 저온저장고에 저장 중에도
주기적으로 과실 품질을 점검하는 게 중요해요.

저장 초기👉🏻 한 달에 1회
저장 후기👉🏻 한 달에 2회

과실 맛과 내부 상태를 평가해
과실 품질 변화와 그에 따른 출하 시기를 판단해주세요.

<저온저장고 관리 요령>

① 저장고 온도(0℃)와 습도(90~95%)가
균일하게 유지되는지 수시로 관찰해주세요.
미생물 증식에 의한 부패나 중량, 조직감 등의 유지에 중요해요.

② 적정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냉장기기와 방습벽 설치, 수분 흡수가 적은 입고 용기 사용,
주기적인 환기를 해주는 것이 중요해요.

③ 저장고의 유해가스를 제거하려면
저장고 상부 또는 측면에 환기창을 설치하고,
환기창이 없을 땐 외기온과 저장고 온도 편차가
가장 작은 시간에 격주 1회씩 환기를 실시합니다.

[🌞 날씨]
다음 주는 찬 대륙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추운 날이 있을 예정입니다.
기온은 평년(-2.2~0.0℃)보다 낮을 전망입니다.

강수량은 평년(0.7~3.1㎜)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돼
관수 관리에 신경 쓰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저수율: 68.7% (평년 71.5%의 96.1% / 1.2 기준)

🔔 주간 작업 알림을 놓치지 않고 받아 보고 싶다면?
댓글로 “알림 신청”이라고 달아주세요.
Farmmorning
사과 농사도우미
다음 주 사과 모임 작업 알림🔔

[🌞 날씨]
다음 주는 찬 대륙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추운 날이 있을 예정입니다.
기온은 평년(-1.9~0.5℃)보다 낮을 전망입니다.

강수량은 평년(1.4~5.2㎜)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돼
관수 관리에 신경 쓰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저수율: 68.6% (평년 68.6%의 96.2% / 12.26 기준)

1️⃣ 동해 한계온도와 지속시간을 체크하세요.

사과 동해 한계온도는 -30~-35℃,
지속시간은 10시간 이상 되었을 때
동해를 입을 수 있어요.

저온으로 내려가는 속도가 빠르거나,
동결 후 해빙 속도가 빠를수록
피해가 심해져요.

사과는 온도 차가 급격할 때
동해를 입을 확률이 높아요.

2️⃣ 동해 피해 예방은 다음과 같아요.

- 신규 개원은 동해 우려가 없는
안전재배 지대에 재식하세요!

- 내한성이 강한 품종으로 식재하세요.

- 추위에 약한 품종은 경사지 위쪽,
강한 품종은 낮은 쪽에 재식하세요.

- 배수가 불량한 과원은
배수시설을 제대로 설치해야 해요.

- 주간부는 두꺼운 부직포, 볏집,
신문지(15겹 이상) 등 보온성 높은 피복재로
방한 조치해 주세요.

- 냉기 유입을 차단하고,
방향조절(방풍림, 방풍망 설치)을 해주세요.

3️⃣ 이미 동해를 입었다면, 사후관리는 다음과 같아요.

✅ 수피 상태와 피해정도를 확인하세요.

- 동해피해가 심한 나무는 굴취하고
재정식 하는 것이 나아요.

- 피해가 가벼운 나무는 고사된 수피를 제거하고,
피해부위에 톱신페스트를 도포하세요.

✅ 나무 수세를 확인하고 엽면시비해요.

- 피해로 수세가 약해진 나무는
꽃을 제거해서 결실을 최소화하세요.

- 요소 0.3% 또는 4종 복비를 엽면시비 하여
수세 회복에 힘쓰세요.

- 나무좀 트랩을 설치해 2차 병해충 피해를 예방하세요.

🔔 주간 작업 알림을 놓치지 않고 받아 보고 싶다면?
댓글로 “알림 신청”이라고 달아주세요.

🙇🏻다들 2022년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Farmmo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