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근무늬낙엽병은 낙엽에서 월동하므로 과수원에 쌓여 있는 지난해 병든 낙엽은 반드시 없애야 합니다. 또한 나무의 세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토양관리, 양·수분 관리에 유의해 세력을 건전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병은 8~9월에 시작하지만, 5월 중순부터 7월 하순까지 병원균 자낭포자가 공기 중에 비산을 시작하므로 집중적으로 방제를 해야 합니다. 대략적으로 1차 방제는 5월 10일경, 2차와 3차 방제는 6월 상순과 6월 하순 무렵 하는 것이 탄저병과 동시 방제 측면에서도 유리 하다고 합니다. 약제마다 차이가 있으나 개화기(5월 20일 전후)에 근접해서 약제를 살포하면 감꽃의 수정이 불량해질 수 있으므로 방화곤충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살충제와 혼용할 경우에는 개화 일주일 이전에 살포해야 합니다.
과피흑변과는 과수원 내의 공기습도가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초생 재배구가 청 경 또는 멀칭재배구보다 발생이 많으며, 수관 하부나 지표면에 가까운 과실이 높은 곳에 결실한 과실보다 발생이 많습니다. 북향의 경사지 포장이 남향보다 많이 발생하며, 같은 포장 내에서도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골짜기에서 생산된 과실에서 많이 발생합니다.성숙기인 가을철 안개의 발생이 많아 과실 표면에 수분이 오랫동안 맺히는 지역에서 흑변과의 발생이 많습니다. 과피흑변과는 가을철 안개가 많은 곳, 일조 시간이 짧은 골짜기는 흑변과 발생이 많으므로 조생종을 심어 일찍 수확한다. 또한 발생하기 쉬운 품종, 가지가 심하게 밑으로 처지는 품종은 재식거리를 알맞게 해야 하고 초생재배, 밀식과원은 과원 내의 습도가 높으므로 예초를 자주하고, 전정, 간벌로 포장 환경을 개선해야 합니다 .과실성숙기, 수확기에 약제의 근접 살포를 지양하고 과피면이 빨리 건조하는 조건에서 살포해야 하며, 특히 9월 상순 전후의 석회보르도액의 살포와 유기인제의 살포는 가능한 한 피하고, 7월 이후의 탄저병 방제는 동제가 아닌 약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서리를 맞으면 흑변과의 발생이 많으므로 적기에 수확하여 출하 해야 합니다. 특히 저장 중에 많이 발생하므로 수확 때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